6살 남아 / 봄 알레르기 비염
안산
2024.04.11 15:17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9-04-24
저희 아이는 봄이 오면 비염이 심해져서 콧물과 재채기를 달고 살아요.
계절이 변화거나 아침 저녁 날씨 온도차가 심하면 어김 없이 콧물, 재채기를 엄청 심하게 해요.
계절이 변화거나 아침 저녁 날씨 온도차가 심하면 어김 없이 콧물, 재채기를 엄청 심하게 해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안산함소아 조성익 원장입니다.^^
아이가 겪고 있는 다양한 증상 증후군을 코점막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이라는 뜻에서 비염이라고 부르는데요.
대표 증상으로 재채기, 코막힘, 수양성 비루 ( 맑은 콧물 ) 등을 들 수 있고, 코 가려움, 눈 가려움 (결막염), 눈깜빡임, 코 찡긋거림, 후비루성 기침 ( 코가래기침 ), 두통, 머리 무거움 등 다양한 증상들이 수반되기도 합니다.
증상을 쉽게 악화시키는 요인 중 대표적으로는 냉자극을 들 수 있어요.
평소 냉장수를 즐겨 먹거나, 차가운 우유, 냉장음료, 아이스크림 등을 자주 섭취하는 경우입니다.
차가운 걸 먹게 되면 냉한 기운이 폐를 자극하게 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더욱 차단하는 반응으로 코점막 부풀어 올라, 일상 중에 코가 늘 막혀 있을 수 있어요.
또한, 평소 물 섭취량이 부족하여 코가 건조하고 예민해져서 작은 자극에도 쉽게 재채기를 하거나, 코나 눈을 자주 비비고 쑤시는 등의 행동을 습관적으로 할 수 있어요.
과자나 사탕, 초코, 밀가루 간식 등 장점막을 수시로 자극하고 유해성분을 많이 만들어내는 식생활도 코 점막을 예민하게 하여 비염을 악화시킬 수 있고요.
코점막을 건조하게 하면서, 냉기에 취약한 생활 패턴으로는 겨울철 따뜻한 실내환경도 들 수 있어요.
23~4도의 온화한 실내환경 속에서 내복 1겹만 입는 옷차림은 아직 근육 발달이 적은 아이들에게는 체온이 쉽게 낮아지는 결과름 초래하여 겨울 내내 코막힘으로 수면이 얕아질 수 있어요.
비염은 부모로부터의 유전 경향이 강한 편이긴 하지만, 일상 생활 관리도 중요하다는 점에 유념하셔야겠습니다.
- 냉장 음료, 냉장수, 아이스크림은 강한 냉자극 피하기
- 실온수 충분히 섭취하기 ( 적정량 = 자기체중 * 40 ml / 예들들면, 체중20킬로*40=800ml )
- 겨울철 기준 실온 20도 정도 유지하고, 내복과 헐렁한 잠옷 겹쳐입기
- 여름철 기준 실온 28도 정도에서, 선풍기, 냉수욕 등으로 더위 버텨보기 ( 습관적인 에어컨 사용은 비염 악화 )
- 햇살이 적당한 날에는 바깥활동을 충분히 시켜주세요.
- 아주 더운 여름철 제외하곤 따뜻한 물에 15분 족욕하기
한약 치료는, 코를 중심으로 호흡기 점막이 건강하게 재생되도록 도와주는 한약을 봄, 가을 환절기에 1~2달씩 복용하면서 코레이저, 배뜸, 한약 훈증 등의 치료과정을 진행하고, 여름방학에는 동병하치, 겨울철에는 겨울뜸 등의 보조 면역치료를 3년 정도 꾸준히 이어가게 되면, 비염이 차차 호전되고 기초체력이 충실하게 성장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실 거예요.
아이 비염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항상 아이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아이가 겪고 있는 다양한 증상 증후군을 코점막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이라는 뜻에서 비염이라고 부르는데요.
대표 증상으로 재채기, 코막힘, 수양성 비루 ( 맑은 콧물 ) 등을 들 수 있고, 코 가려움, 눈 가려움 (결막염), 눈깜빡임, 코 찡긋거림, 후비루성 기침 ( 코가래기침 ), 두통, 머리 무거움 등 다양한 증상들이 수반되기도 합니다.
증상을 쉽게 악화시키는 요인 중 대표적으로는 냉자극을 들 수 있어요.
평소 냉장수를 즐겨 먹거나, 차가운 우유, 냉장음료, 아이스크림 등을 자주 섭취하는 경우입니다.
차가운 걸 먹게 되면 냉한 기운이 폐를 자극하게 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더욱 차단하는 반응으로 코점막 부풀어 올라, 일상 중에 코가 늘 막혀 있을 수 있어요.
또한, 평소 물 섭취량이 부족하여 코가 건조하고 예민해져서 작은 자극에도 쉽게 재채기를 하거나, 코나 눈을 자주 비비고 쑤시는 등의 행동을 습관적으로 할 수 있어요.
과자나 사탕, 초코, 밀가루 간식 등 장점막을 수시로 자극하고 유해성분을 많이 만들어내는 식생활도 코 점막을 예민하게 하여 비염을 악화시킬 수 있고요.
코점막을 건조하게 하면서, 냉기에 취약한 생활 패턴으로는 겨울철 따뜻한 실내환경도 들 수 있어요.
23~4도의 온화한 실내환경 속에서 내복 1겹만 입는 옷차림은 아직 근육 발달이 적은 아이들에게는 체온이 쉽게 낮아지는 결과름 초래하여 겨울 내내 코막힘으로 수면이 얕아질 수 있어요.
비염은 부모로부터의 유전 경향이 강한 편이긴 하지만, 일상 생활 관리도 중요하다는 점에 유념하셔야겠습니다.
- 냉장 음료, 냉장수, 아이스크림은 강한 냉자극 피하기
- 실온수 충분히 섭취하기 ( 적정량 = 자기체중 * 40 ml / 예들들면, 체중20킬로*40=800ml )
- 겨울철 기준 실온 20도 정도 유지하고, 내복과 헐렁한 잠옷 겹쳐입기
- 여름철 기준 실온 28도 정도에서, 선풍기, 냉수욕 등으로 더위 버텨보기 ( 습관적인 에어컨 사용은 비염 악화 )
- 햇살이 적당한 날에는 바깥활동을 충분히 시켜주세요.
- 아주 더운 여름철 제외하곤 따뜻한 물에 15분 족욕하기
한약 치료는, 코를 중심으로 호흡기 점막이 건강하게 재생되도록 도와주는 한약을 봄, 가을 환절기에 1~2달씩 복용하면서 코레이저, 배뜸, 한약 훈증 등의 치료과정을 진행하고, 여름방학에는 동병하치, 겨울철에는 겨울뜸 등의 보조 면역치료를 3년 정도 꾸준히 이어가게 되면, 비염이 차차 호전되고 기초체력이 충실하게 성장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실 거예요.
아이 비염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항상 아이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