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 증상 치료도 가능 할까요?
수원시청
2024.12.17 12:05
- 질환 정보
- 감기
- 환자 정보
-
2 2018-04-21
안녕하세요 두달 전부터 아이가 코를 자주 찡그려요
아이가 비염이 있기도 하고 날씨도 추워져서 코가 불편한줄 알았는데
점점 더 코를 찡그리는 행동이 심해지고 있어
아이가 비염이 있기도 하고 날씨도 추워져서 코가 불편한줄 알았는데
점점 더 코를 찡그리는 행동이 심해지고 있어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수원시청 함소아 한의원 조혜영 원장입니다.
아이가 갑자기 코를 찡그리는 증상을 보인다니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비염 증상이 있으면 코가 답답하니 코를 비비거나 찡긋거릴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비염 치료를 했는데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비염 정도에 비해 증상이 과하게 나타난다면, 틱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특정 행동이나 시간,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진다면 가능성이 더 높아지겠지요.
아직 아이가 자신의 증상에 대해 알지 못 하고 있다면, 굳이 지적하지 않고 다른 행동으로 유도하거나 다른 곳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아이 증상에 집중하기 보다는 아이의 감정이나 생활 등에 관심을 주고 신경을 써주셔야 합니다.
피곤하거나 긴장되거나 흥분되는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니 이런 상황은 피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핸드폰, 태블릿 등 영상 시청이나 게임 등은 틱 증상을 악화시키니 가급적 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부모님과 함께 마음껏 뛰어노는 것은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비염이 심하면 당연히 비염 치료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의원에서 진료를 볼 때 아이 상태를 살펴본 후 아이를 내보낸 후 진료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아이가 틱 증상으로 진료를 본다는 사실을 모르게 하고 싶다면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한약 치료, 침치료, 부항치료, 추나 치료, 약침치료 등을 병행하게 됩니다.
불안과 긴장을 완화하고 근육을 이완시켜줄 수 있는 한약을 복용합니다.
한약은 아이의 전반적인 체질이나 건강상태 등에 따라 처방이 달라집니다.
틱이 있는 아이들은 목이나 어깨, 등쪽으로 근육이 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지럼도 많이 타고 감각도 예민한 경우가 많지요.
근막을 이완하고 긴장을 풀어주는 추나치료, 침, 부항, 약침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부모님이 아이 증상 때문에 불안을 느끼면 아이 역시도 더 불안해지게 됩니다.
걱정만 하지 마시고,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아이가 갑자기 코를 찡그리는 증상을 보인다니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비염 증상이 있으면 코가 답답하니 코를 비비거나 찡긋거릴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비염 치료를 했는데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비염 정도에 비해 증상이 과하게 나타난다면, 틱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특정 행동이나 시간,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진다면 가능성이 더 높아지겠지요.
아직 아이가 자신의 증상에 대해 알지 못 하고 있다면, 굳이 지적하지 않고 다른 행동으로 유도하거나 다른 곳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아이 증상에 집중하기 보다는 아이의 감정이나 생활 등에 관심을 주고 신경을 써주셔야 합니다.
피곤하거나 긴장되거나 흥분되는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니 이런 상황은 피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핸드폰, 태블릿 등 영상 시청이나 게임 등은 틱 증상을 악화시키니 가급적 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부모님과 함께 마음껏 뛰어노는 것은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비염이 심하면 당연히 비염 치료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의원에서 진료를 볼 때 아이 상태를 살펴본 후 아이를 내보낸 후 진료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아이가 틱 증상으로 진료를 본다는 사실을 모르게 하고 싶다면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한약 치료, 침치료, 부항치료, 추나 치료, 약침치료 등을 병행하게 됩니다.
불안과 긴장을 완화하고 근육을 이완시켜줄 수 있는 한약을 복용합니다.
한약은 아이의 전반적인 체질이나 건강상태 등에 따라 처방이 달라집니다.
틱이 있는 아이들은 목이나 어깨, 등쪽으로 근육이 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지럼도 많이 타고 감각도 예민한 경우가 많지요.
근막을 이완하고 긴장을 풀어주는 추나치료, 침, 부항, 약침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부모님이 아이 증상 때문에 불안을 느끼면 아이 역시도 더 불안해지게 됩니다.
걱정만 하지 마시고,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