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밤에 자주 깨서 우는 아이

안산 2024.12.16 11:28
질환 정보
야제증/야경증
환자 정보
1 2023-03-03
21개월 되는 남아입니다.
최근 아이가 밤에 자주 깨서 울고 보채는 것을 반복해요. 토닥여주고 해도 계속 울고, 다시 잠들기까지 너무 오래 걸려요.
푹자야 아이 컨디션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안산 함소아 조성익 원장입니다.

아이들의 밤중 수면이 깊지 못하고 자주 보채거나 울고, 큰소리 잠꼬대가 잦아지는 경우를 ‘야제증’, ‘야경증’ 이라고 하는데요.
감기의 주요 원인으로 피로(체력소모)와 체온저하(추위,냉기)를 지목하고, 회복을 위해서는 휴식과 온기회복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듯이, 어린이의 야제증에도 몇 가지의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고, 그에 따른 해결책이 있답니다.

1. 가장 흔하고 주요한 원인으로는 ‘장부의 숨은 열(속열)’을 들 수 있어요. 자기 체력 이상으로 과도한 놀이를 하거나, 연속되는 감기로 체력이 떨어져 있거나 하게 되면 가슴과 머리 쪽으로 열이 더 많이 몰리게 되어 숙면을 방해하게 된답니다. 소시호탕, 시호계지탕, 억간산, 감맥대조탕, 도적산 등의 한약 처방 등을 활용하여 치료합니다.

2. 두 번 째 꼭 생각해야 하는 원인으로는, 과식 혹은 소화불량 상태를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잠들기 전에 우유 등을 먹는 습관은 소화불량을 조장하게 되면서 횡격막과 뇌의 긴장을 유발하므로 숙면을 방해할 수 있답니다. 배를 아파하고, 구역질을 종종 하거나, 구취가 많아지는 경우에 평위산, 감초사심탕 등의 한약을 복용하면 속이 편해지면서 야제가 회복될 수 있어요.

3. 교통사고나 갑작스러운 심한 훈육 등에 놀라게 될 경우에도 야제 증상이 생길 수 있어요. 기혈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결국 심장과 머리 쪽으로 열이 더 몰리게 됨에 따라 수면이 불안해지는 야제증이 생길 수 있답니다. 온담탕, 감맥대조탕, 시호계지탕, 소아우황청심환, 사청환, 천왕보심단 등의 한약 처방을 활용하여 치료할 수 있어요.

4. 성장 중인 아이들의 숙면을 위해서는 적당히 서늘한 환경이 좋습니다. 그런데, 감기 걸릴까 하는 노파심에 실온을 높이는 경우가 많은데, 겨울철 기온을 22도 정도나 그 이하에서 유지하면서 내복과 잠옷을 겹쳐 입도록 하면 높은 실온으로 인하여 수면이 불편해질 가능성이 많이 낮아진답니다.

한약을 처방하게 된다면, 야제증이 개선될 때까지 이어서 복용하는 게 좋습니다. 복약 후 반응을 보면서 처방을 이어가게 되므로 대략 1~2달 정도는 꾸준히 치료받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이 밤에 자주 깨서 우는 증상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항상 아이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