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잘 안 먹는 아이
전주
2023.11.28 11:50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5-03-10
밥을 잘 안 먹어서 상담글 남깁니다. 현재 초등학교 2학년 아들인데요.. 어렸을 때 부터도 먹는거에 흥미가 없어서 쫒아다니면서 밥을 먹이기는 했어요.. 커 가면서 괜찮아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전주 함소아 대표원장 박상구입니다.
상담하신 글을 보니 이제 초등학교 2학년에 다니는 아들을 기르고 계시는데, 아이가 어린 시절부터 먹는 것에 그닥 흥미가 없고 최근까지 잘 먹지 않아서 현재 또래에 비하여 체중과 성장이 많이 쳐져서 걱정이라고 하셨네요.
혹시 이러한 아이들에게 어떠한 관리를 해주면 좋을지 질문을 하셨습니다.
아이를 기르는 엄마들의 대부분의 관심은 아이들이 건강하게 잘 자라고 또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학업을 잘 따라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이들을 기르다 보면 성장하면서 편식이 심하거나 도통 음식에 관심이 없고 잘 먹지 않는 경우 걱정거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에 들어가서도 급식을 먹는 것을 꺼려하면서 친구들에 비하여 체중과 신장이 뒤처지게 되면 더 큰 고민이 생길 것입니다.
일단 체질적으로 잘 먹는 아이들이 있는가 하면 위장기능이 예민하고 뱃고래가 작아서 잘 먹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 엄마나 아빠가 어린 시절부터 음식을 잘 먹지 않는 경우 부모님을 닮기도 하고 혹은 아이가 어린 시절부터 식습관의 버릇으로 편식이나 소식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또 체질 적으로 소음인(少陰人)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위장기능이 약해서 식사량이 적다고 진단을 내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많이 아프거나 잦은 감기로 고생하는 경우에는 식욕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단 아이가 지속적으로 음식량이 또래에 비하여 섭취량이 적게 되면 성장과 체중이 점차 떨어져서 체력이 약해지고 나중에 고학년에 올라가서 학업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올 겨울에도 아이가 지속적으로 잘 먹지 않는 경우에는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시면 선생님께서 아이의 상태를 진찰해서 만약 필요한 경우 처방을 내주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위장기능을 강화하고 식욕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좋은 한약제제들이 있기 때문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약의 처방은 아이의 상태 체중 및 증상에 따라 내용이 달라 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한의사의 진단 아래 처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추위가 다가오는 계절이니 독감이나 호흡기 질환 조심하고 건강하게 겨울을 나도록 하시게요.
전주 함소아 대표원장 박상구입니다.
상담하신 글을 보니 이제 초등학교 2학년에 다니는 아들을 기르고 계시는데, 아이가 어린 시절부터 먹는 것에 그닥 흥미가 없고 최근까지 잘 먹지 않아서 현재 또래에 비하여 체중과 성장이 많이 쳐져서 걱정이라고 하셨네요.
혹시 이러한 아이들에게 어떠한 관리를 해주면 좋을지 질문을 하셨습니다.
아이를 기르는 엄마들의 대부분의 관심은 아이들이 건강하게 잘 자라고 또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학업을 잘 따라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이들을 기르다 보면 성장하면서 편식이 심하거나 도통 음식에 관심이 없고 잘 먹지 않는 경우 걱정거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에 들어가서도 급식을 먹는 것을 꺼려하면서 친구들에 비하여 체중과 신장이 뒤처지게 되면 더 큰 고민이 생길 것입니다.
일단 체질적으로 잘 먹는 아이들이 있는가 하면 위장기능이 예민하고 뱃고래가 작아서 잘 먹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 엄마나 아빠가 어린 시절부터 음식을 잘 먹지 않는 경우 부모님을 닮기도 하고 혹은 아이가 어린 시절부터 식습관의 버릇으로 편식이나 소식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또 체질 적으로 소음인(少陰人)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위장기능이 약해서 식사량이 적다고 진단을 내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많이 아프거나 잦은 감기로 고생하는 경우에는 식욕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단 아이가 지속적으로 음식량이 또래에 비하여 섭취량이 적게 되면 성장과 체중이 점차 떨어져서 체력이 약해지고 나중에 고학년에 올라가서 학업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올 겨울에도 아이가 지속적으로 잘 먹지 않는 경우에는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시면 선생님께서 아이의 상태를 진찰해서 만약 필요한 경우 처방을 내주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위장기능을 강화하고 식욕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좋은 한약제제들이 있기 때문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약의 처방은 아이의 상태 체중 및 증상에 따라 내용이 달라 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한의사의 진단 아래 처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추위가 다가오는 계절이니 독감이나 호흡기 질환 조심하고 건강하게 겨울을 나도록 하시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