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염
전주
2023.10.16 15:01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7-08-16
7살 아들 맘 입니다. 비염 때문에 문의드려요. 최근 날씨가 아침,저녁으로 쌀쌀해지면서 비염 증상이 심해지더라구요. 다크써클도 생기고, 눈 주변도 빨갛게 올라오고 가려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전주 함소아 한의원 박상구 원장입니다.
상담하신 글을 보니 이제 7세가 된 아들을 기르고 계시는데, 아이가 최근 환절기에 비염으로 고생을 해서 걱정이 된다고 하셨네요.
현재 아이 아빠가 비염으로 고생을 하고 있고 또 비염과 함께 눈 알러지도 같이 있는데, 혹시 한방적인 관리와 치료가 궁금하다고 하셨네요.
올해에 8월에 폭염에 의하여 날씨가 너무 덥다가 최근에 가을에 갑작스러운 환절기로 인해서 아침 저녁으로는 쌀쌀한 날씨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계절적인 변화와 함께 코로나19가 해제되어서 마스크를 벗고 나서 감기와 호흡기 질환 그리고 비염으로 고생하는 아이들이 부쩍 늘고 있습니다.
비염의 원인은 대략 1) 엄마 아빠의 유전적인 소인 2) 환경적인 원인 3) 아이의 잦은 감기나 면역력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만약 엄마와 아빠가 비염이 있는 경우 아이가 비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다소 높습니다.
아울러 최근에 미세먼지와 꽃가루 그리고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로 인하여 비염으로 고생하는 아이들이 많아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비염의 특징적은 증상은 1) 콧물 2) 코막힘 3) 재채기인데, 만약 아이가 생활이나 학업에 크게 지장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너무 걱정하실 필요가 없지만
1) 비강호흡기 힘들거나 2) 만성 비염이나 심한 부비동염(축농증) 3) 턱구조의 이상변형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치료나 관리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의학적인 비염의 치료는 비강 점막을 안정화시키고 아울러 면역력을 개선하면서 호흡기를 튼튼히해서 비염을 관리하고 아울러 비염을 예방하는 방면으로 치료를 하게 됩니다.
비염의 치료는 1) 침치료 2) 뜸치료 3) 한약 처방 4) 호흡기 아로마 치료 5) 경혈 마사지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는 아이의 상태나 증상에 따라서 가장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아이가 환절기에 비염 증상(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이 지속되거나 심해져서 부비동염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시면 선생님께서 아이의 상태나 체질과 증상을 확인후에 가장 적절한 관리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 치료에 대한 상담을 해주실 것입니다.
최근 날씨가 갑작스럽게 추워지고 환절기 온도차이가 심하니 생활환경을 주의해주시면 비염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상담하신 글을 보니 이제 7세가 된 아들을 기르고 계시는데, 아이가 최근 환절기에 비염으로 고생을 해서 걱정이 된다고 하셨네요.
현재 아이 아빠가 비염으로 고생을 하고 있고 또 비염과 함께 눈 알러지도 같이 있는데, 혹시 한방적인 관리와 치료가 궁금하다고 하셨네요.
올해에 8월에 폭염에 의하여 날씨가 너무 덥다가 최근에 가을에 갑작스러운 환절기로 인해서 아침 저녁으로는 쌀쌀한 날씨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계절적인 변화와 함께 코로나19가 해제되어서 마스크를 벗고 나서 감기와 호흡기 질환 그리고 비염으로 고생하는 아이들이 부쩍 늘고 있습니다.
비염의 원인은 대략 1) 엄마 아빠의 유전적인 소인 2) 환경적인 원인 3) 아이의 잦은 감기나 면역력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만약 엄마와 아빠가 비염이 있는 경우 아이가 비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다소 높습니다.
아울러 최근에 미세먼지와 꽃가루 그리고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로 인하여 비염으로 고생하는 아이들이 많아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비염의 특징적은 증상은 1) 콧물 2) 코막힘 3) 재채기인데, 만약 아이가 생활이나 학업에 크게 지장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너무 걱정하실 필요가 없지만
1) 비강호흡기 힘들거나 2) 만성 비염이나 심한 부비동염(축농증) 3) 턱구조의 이상변형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치료나 관리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의학적인 비염의 치료는 비강 점막을 안정화시키고 아울러 면역력을 개선하면서 호흡기를 튼튼히해서 비염을 관리하고 아울러 비염을 예방하는 방면으로 치료를 하게 됩니다.
비염의 치료는 1) 침치료 2) 뜸치료 3) 한약 처방 4) 호흡기 아로마 치료 5) 경혈 마사지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는 아이의 상태나 증상에 따라서 가장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아이가 환절기에 비염 증상(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이 지속되거나 심해져서 부비동염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시면 선생님께서 아이의 상태나 체질과 증상을 확인후에 가장 적절한 관리나 치료가 필요한 경우 치료에 대한 상담을 해주실 것입니다.
최근 날씨가 갑작스럽게 추워지고 환절기 온도차이가 심하니 생활환경을 주의해주시면 비염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