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두드러기 증상 문의합니다.

2014.03.20 15:56
질환 정보
환자 정보
2 2011-08-19
안녕하세요.
31개월 여자아이 자녀를 둔 엄마입니다.
6개월즈음 어린이집을 다니면서 지금 현재까지 입원경력이 총 8번 정도 됩니다.
그래서 면역력을 좀 키워보자싶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포항 함소아의 여인효 원장입니다.


답답한 마음에 글을 올리시고 기다리셨을텐데 오래 기다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최대한 빠르게 답변을 드렸어야 하는데 휴진일 등 불가피한 사정으로 늦어지게 되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먼저 저희 진료기록과 질문글을 종합하여 아이의 경과를 처음부터 되짚어보겠습니다.


말씀해 주신 것처럼 단체생활을 시작한 후 감기가 잦고 심하여 작년 12월 말에 처음 내원하셔서 처방을 받으셨고 1월 중순에 한번 더 약을 처방받으셨는데 감기약을 과량 복용하는 사고는 1월 15일에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1월 14일에 처방받은 50ml 약을 하루 먹고 어린이집에 가져가서 남은 40ml 정도를 모두 복용했다고 하셨습니다.) 그 결과로 설사가 있었는데 소아과에서 장염 치료를 받았고 17일까지 다른 증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윗 글의 내용과 저희 진료 기록을 합쳐서 살펴보면 18일이나 19일부터 발진이 생기기 시작해서 22일정도부터 전신으로 번지면서 가려움까지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그 후로는 계속 양방 피부과에서 진료를 받으셨는데 약을 쓰면 들어갔다가 끊으면 다시 생기기를 지금까지 반복하는 것 같네요.


게다가 장염증상이 중간에 또 생겨서 입원까지 했었는데 그 사이에는 오히려 피부엔 아무런 문제가 없었구요. 그 때가 정확히 언제인지는 나와있지 않지만 그 후로는 병원치료를 하지 않는 상태이고 집에서 관리 중이신데 역시 호전 악화가 반복되는 상태인 것으로 적어주셨네요.






두달 동안 두드러기로 고생하는 것이 저도 너무 마음이 아프네요. 그런데 이런 정도가 되면 이제는 두드러기가 올라오는 원인이 최초와는 달라졌을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어머니께서도 생각하시는 것처럼 급성으로 올라온 두드러기와 만성화된 두드러기는 치료법이 많이 다릅니다. 처음과 다르게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정도가 되면 증상을 진정시키는 대증요법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치료를 병행해야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 중간에 장염으로 고생할 때의 상황인 것 같습니다. 즉 오히려 몸이 아프고 설사를 하고 있었는데 두드러기는 생기지 않았던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장을 깨끗하게 만들면 두드러기가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유산균제를 복용하고 녹색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면서 부족한 것은 과일로 조금씩 도와주면서 물을 충분히 많이 마시도록 하는 방법으로 장을 관리해주세요. 유산균제는 보통의 하루 용량보다 1.5-2배 정도 많이 복용하시고 물은 800ml 정도를 목표로 해 주세요. 채소는 아무리 열심히 먹여도 충분한 양을 채워주지 못할테니까 그냥 최대한 열심히 노력해주세요. 장에 대한 관리만 생각한다면 다른 채소보다는 녹색채소가 압도적으로 더 좋습니다. 아이가 먹어주기만 한다면 녹즙이 좋은데 그것도 쉽지 않을 나이인 듯 하네요.






그리고 어린이들의 면역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수면을 관리해주세요. 그 정도 나이라면 낮잠을 1시간여 자고 저녁에 9시를 넘기기 전에 잠들어서 해가 뜨는 시간 정도에 일어나서 활동해야합니다. 예전에도 좀 늦게 잤었고 두드러기가 생긴 이후엔 오히려 점점 더 늦게 잔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래서는 면역력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반드시 9시 전에 잠들도록 해 주세요. 그리고 수면환경이 아이에게 맞아야합니다. 실내온도는 21도를 기준으로 하시고 수면조끼를 입히거나 혹은 담요 같은 것을 깔아서 체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해하지 말아야합니다. 실내온도 21도를 기준으로 한다면 새벽 4-5시 무렵에 잠깐 외에는 보일러 사용을 하지 않는 정도가 아닐까 예상됩니다. 늦게 자다가 갑자기 일찍 재우면 잘 누우려고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워도 더 자주 깨는 경향이 있지만 새로운 리듬에 적응할 때까지 일시적인 현상일 뿐입니다. 수면환경을 어른이 아니라 아이에게 맞춰주고 매일 같은 일이 반복되도록 훈련한다면 그리 오래지 않아 변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피부가 좋아지지 않거나 혹은 장이나 수면에 대한 관리가 생각만큼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편이 좋겠습니다.


빠른 시간 안에 고운 피부를 되찾아 고생에서 벗어났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안녕히 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