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심한 코골이

서대전 2014.02.23 13:11
질환 정보
환자 정보
1 2007-05-07
밤이면 방마다 코골이가 장난아닙니다.감기에 걸리면 더 심해게 골구요.비염인거 같아서 대학병원에서 알르레기반응검사도 했는데 별 이상은 없었습니다.거기서 비염치료제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서대전함소아 차진아원장입니다.

 

만 6세 8개월인 아이 코골이 때문에 문의해주셨습니다.

 

코골이는 들숨으로 들어온 공기가 코와 목구멍을 통해 기관지로 들어가는 과정 중에 기도가 좁아지면서 목젖이나 입천장의 점막 등이 진동하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말합니다.

코골이를 어른들에게만 있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오히려 아이들이 코골이가 있을 확률이 더 높습니다. 아이들은 콧구멍이 좁아 코가 자주 막히기 때문인데요. 특히 감기로 코가 막히면 입으로 숨을 쉬면서 평소에 코를 안 골던 아이도 코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성인 코골이와 마찬가지로 아이들의 코골이에도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요.

크게 4가지로 살펴보면,

? 편도나 아데노이드가 큰 경우 ☞ 이런 경우에는 기도 자체가 좁아져있기 때문에 다른 아이들보다 코골이가 훨씬 심할 수 있습니다. 편도가 큰 아이들은 코 뒤쪽에 위치하는 아데노이드라는 조직도 편도와 거의 유사한 조직이어서 아데노이드도 큰 경우가 많습니다.

? 비염이나 축농증 때문에 코가 부은 경우 ☞ 가장 흔한 경우이지요. 아이들은 콧구멍도 작은데 코가 붓고 그 안에 콧물이 또 차게 되면 코골이가 자주 생깁니다.

? 비만이나 혀가 큰 경우

? 아래턱이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경우

 

아이들이 코를 경우는 위처럼 다양한데요. 아이가 비염치료제를 먹고 난 후 조금 좋아졌다면 코의 문제일 수도 있어 보입니다. 각각의 원인에 대한 치료법을 살펴보면,

? 편도나 아데노이드가 큰 경우의 치료법은 결국에는 수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그러나 수술의 적응증이 되는 경우는 드문 편이며 무호흡증이 없으면 일단 10세 정도까지는 지켜보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 비염, 축농증 치료와 잦은 코감기 예방을 통해서 코골이를 치료해주어야 하는 경우입니다. 코 점막을 붓지않도록 해주고 안에 콧물이 차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지요.

? 아이의 정확한 체형을 몰라서 비만인지는 알 수 없으나 비만인 경우는 살을 빼주면 코골이가 덜해집니다.

? 위의 경우는 신생아의 경우가 많구요. 지금 6세이기 때문에 아래턱이 작아서 코를 골 확률은 낮아보이네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내원을 하여 아이의 코 상태와 편도나 아데노이드를 확인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네요. 편도나 아데노이드가 워낙 큰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염, 축농증으로 인한 코골이는 한방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답니다. 시간되실 때 한 번 내원하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코골이 관리법

고개를 약간 젖혀주세요 ☞ 밤에 자면서 코를 고는 경우 자세를 바꿔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고개를 젖혀주시면 좁아져있던 통로가 넓어지면서 조금 덜해집니다.

베개 선택이 중요해요 ☞ 코를 고는 아이들은 머리 부분을 10cm 정도 높게 하고 옆으로 눕혀서 재우시면 코골이에 도움이 됩니다.

체형 관리를 도와주세요 ☞ 비만인 아이들은 체중을 줄이면 코골이가 많이 덜해져요. 뚱뚱한 경우에는 코과 목구멍의 통로가 좁아지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살만 빼주어도 코골이가 덜해집니다.

온도, 습도 관리 꾸준히 해주세요 ☞ 온도는 22~24도 정도로, 습도는 50~60% 정도로 꾸준히 관리해주세요. 코가 건조해지면 점막이 붓고 코골이가 심해질 수 있으므로 수면 환경도 신경써주세요.

 

코골이가 정말 심한 아이들의 경우에는 어머님이 편도절제나 아데노이드 절제술 등을 고려하시게 되는데요. 문의주신 아이의 경우에는 나이가 아직 어리기 때문에 조금 지난 이후 10세 이후에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의 경우 나이가 커가면서 아데노이드가 작아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떼어내려고 하기보다는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한 후에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편도나 아데노이드는 우리 몸으로 들어오는 나쁜 세균을 걸러주는 중요한 방어기능을 하기 때문에 무작정 떼어내는 것이 좋지 않습니다.

 

* 저의 답변이 우리 아이의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전화주세요. 시간될 때 내원하시면 더욱 더 정확한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