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의심
2014.01.15 20:04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09-10-06
생일도 느리고 아직 6살 올라가는데 어느날 가슴을 만져보니 가슴에 작은 멍울이 만져졌어요
아직 어린데 성조슥증이 올수 있나요?
아직 어린데 성조슥증이 올수 있나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광주함소아 김현경 원장입니다. 우리 아이가 올해 6살이 되는데 가슴 멍울이 잡혀서 문의하셨네요.
요즘 평균적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초경을 시작합니다. 보통 초경 2년 전 즉, 초등학교 4학년에 가슴이 멍울이 잡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우리 아이의 경우 만 4세 3개월인데 가슴멍울이 잡혔다면 또래보다 5-6년 정도 빠른 것입니다. 성조숙증은 만 8세 이전에 가슴멍울이 잡히거나 만 9.5세 이전에 초경을 하는 경우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의 경우 보통보다 많이 빠른 편이기 때문에 가까운 소아과나 산부인과에 방문하셔서 정밀검사를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어머님께서 생각하신 가슴멍울이 실제 유선이 발달한 것인지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알 수 있고 혈액검사를 통해 호르몬 분비가 실제 2차 성징이 나타날 수 있는 상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실제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경우에 양방에서는 성호르몬 억제치료와 성장호르몬 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
한방에서는 성조숙증의 원인에 따라 아이의 몸의 균형상태를 맞춰주는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는 키가 107cm로 100명중 82번째, 체중은 19kg으로 100명중 88번째에 해당되어 또래에 비해 키가 크지만 성조숙증이 있으면 성장판이 빨리 닫히므로 성인이 되었을 때 최종키는 손해볼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은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인 경우가 많은데 유전적인 요인, 비만, 환경호르몬, 스트레스 등이 작용하고 어머니가 당시 또래보다 초경이 빨랐을 경우 성조숙증이 올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한방에서는 화열(火熱)이 많으면 신진대사가 빨라지면서 성조숙증이 온다고 보고 있으며 비만인 경우에는 지방에서 분비되는 렙틴이 성호르몬분비를 촉진하여 성조숙증이 더 빨리 진행되기 때문에 체지방이 늘어나지 않도록 습열(濕熱)을 치료하는 한약재를 처방하게 됩니다. 그리고 인스턴트 식품을 주의하고 운동, 음식관리도 같이 하게 됩니다.
호르몬 검사를 하기 전이라도 음식관리, 운동관리를 통해 체중관리를 도와주는 것이 성조숙증 진행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지방 섭취을 줄이고, 운동을 많이 하면 성조숙을 늦출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에게 꼭 말씀해주세요. 그리고 TV를 밤 늦게까지 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우리 아이가 항상 밝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랍니다. 안녕히 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