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후에 기력이 없는데 한약이 도움이 될까요?
이천
2023.01.27 13:01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1985-01-04
늦은 나이에 출산해서 그런지, 출산 후에 여기저기(허리,손목 등) 안 아픈 곳이 없어요... 아이는 100일이 다 되어 가는데 제 체력이 계속 떨어지고 있어요.... 체력이 너?
답변내용
여자들은 산후에 조리를 잘하면 아기를 갖기 전보다 몸이 더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임신해서부터 출산후 100일까지는 몸의 모든 기능이 4-5배로 증가되기 때문입니다. 회복력, 저항력 등 모든 것이 증가됩니다. 그것만 잘 활용하면 몸이 매우 좋아집니다. 그 대신 조리를 못하면 그 이후로 병을 얻어서 평생을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조리가 잘되지 않고 어혈(瘀血)이 저체되어 나쁜 것이 빨리 빠지지 않으면, 기운이 없으면서 허리 엉덩이가 아프고 관절도 아프게 됩니다.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피로하고 기운이 없고, 허리가 아프고 팔다리가 시리며 관절이 아프고 기운이 없고 대변이 묽다면 비신양허증(脾腎陽虛證)입니다. 이때는 먹는 것도 잘 못 먹습니다. 조리가 안 되어 아랫배가 꺼지지 않고 아랫배가 물렁물렁하면서 힘이 없습니다. 그리고 산후에는 근골이 쇠약해집니다. 이때는 脾腎의 양기(陽氣)를 보(補)합니다. 그리고 강근장골(强筋壯骨: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다)합니다.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은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허리와 엉덩이, 관절이 아프고 한 번씩 어지러우며 잠이 잘 오지 않고 손발이 덥고 대변이 건조합니다. 보간신자음(補肝腎滋陰: 간신을 보하고 음진액을 더하다)하고 강근장골(强筋壯骨)합니다.
기혈휴허증(氣血虧虛證)은 몸 전체가 다 약해진 경우로 기력이 전부 다 소모되어서 약해진 경우,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배에 힘이 없으며, 머리카락이 삐지고 혈색이 많이 안 좋고 빈혈이 같이 옵니다. 빈혈도 있고 피로하고 기운도 없으며, 팔다리가 저리고 시리며 비실비실합니다. 익기양혈(益氣養血: 기를 더하고 혈을 기르다)하고 강근장골(强筋壯骨)합니다.
여자들은 산후에 조리를 잘하면 아기를 갖기 전보다 몸이 더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임신해서부터 출산후 100일까지는 몸의 모든 기능이 4-5배로 증가되기 때문입니다. 회복력, 저항력 등 모든 것이 증가됩니다. 그것만 잘 활용하면 몸이 매우 좋아집니다. 그 대신 조리를 못하면 그 이후로 병을 얻어서 평생을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조리가 잘되지 않고 어혈(瘀血)이 저체되어 나쁜 것이 빨리 빠지지 않으면, 기운이 없으면서 허리 엉덩이가 아프고 관절도 아프게 됩니다.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피로하고 기운이 없고, 허리가 아프고 팔다리가 시리며 관절이 아프고 기운이 없고 대변이 묽다면 비신양허증(脾腎陽虛證)입니다. 이때는 먹는 것도 잘 못 먹습니다. 조리가 안 되어 아랫배가 꺼지지 않고 아랫배가 물렁물렁하면서 힘이 없습니다. 그리고 산후에는 근골이 쇠약해집니다. 이때는 脾腎의 양기(陽氣)를 보(補)합니다. 그리고 강근장골(强筋壯骨: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다)합니다.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은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허리와 엉덩이, 관절이 아프고 한 번씩 어지러우며 잠이 잘 오지 않고 손발이 덥고 대변이 건조합니다. 보간신자음(補肝腎滋陰: 간신을 보하고 음진액을 더하다)하고 강근장골(强筋壯骨)합니다.
기혈휴허증(氣血虧虛證)은 몸 전체가 다 약해진 경우로 기력이 전부 다 소모되어서 약해진 경우,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배에 힘이 없으며, 머리카락이 삐지고 혈색이 많이 안 좋고 빈혈이 같이 옵니다. 빈혈도 있고 피로하고 기운도 없으며, 팔다리가 저리고 시리며 비실비실합니다. 익기양혈(益氣養血: 기를 더하고 혈을 기르다)하고 강근장골(强筋壯骨)합니다.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피로하고 기운이 없고, 허리가 아프고 팔다리가 시리며 관절이 아프고 기운이 없고 대변이 묽다면 비신양허증(脾腎陽虛證)입니다. 이때는 먹는 것도 잘 못 먹습니다. 조리가 안 되어 아랫배가 꺼지지 않고 아랫배가 물렁물렁하면서 힘이 없습니다. 그리고 산후에는 근골이 쇠약해집니다. 이때는 脾腎의 양기(陽氣)를 보(補)합니다. 그리고 강근장골(强筋壯骨: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다)합니다.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은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허리와 엉덩이, 관절이 아프고 한 번씩 어지러우며 잠이 잘 오지 않고 손발이 덥고 대변이 건조합니다. 보간신자음(補肝腎滋陰: 간신을 보하고 음진액을 더하다)하고 강근장골(强筋壯骨)합니다.
기혈휴허증(氣血虧虛證)은 몸 전체가 다 약해진 경우로 기력이 전부 다 소모되어서 약해진 경우,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배에 힘이 없으며, 머리카락이 삐지고 혈색이 많이 안 좋고 빈혈이 같이 옵니다. 빈혈도 있고 피로하고 기운도 없으며, 팔다리가 저리고 시리며 비실비실합니다. 익기양혈(益氣養血: 기를 더하고 혈을 기르다)하고 강근장골(强筋壯骨)합니다.
여자들은 산후에 조리를 잘하면 아기를 갖기 전보다 몸이 더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임신해서부터 출산후 100일까지는 몸의 모든 기능이 4-5배로 증가되기 때문입니다. 회복력, 저항력 등 모든 것이 증가됩니다. 그것만 잘 활용하면 몸이 매우 좋아집니다. 그 대신 조리를 못하면 그 이후로 병을 얻어서 평생을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조리가 잘되지 않고 어혈(瘀血)이 저체되어 나쁜 것이 빨리 빠지지 않으면, 기운이 없으면서 허리 엉덩이가 아프고 관절도 아프게 됩니다.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피로하고 기운이 없고, 허리가 아프고 팔다리가 시리며 관절이 아프고 기운이 없고 대변이 묽다면 비신양허증(脾腎陽虛證)입니다. 이때는 먹는 것도 잘 못 먹습니다. 조리가 안 되어 아랫배가 꺼지지 않고 아랫배가 물렁물렁하면서 힘이 없습니다. 그리고 산후에는 근골이 쇠약해집니다. 이때는 脾腎의 양기(陽氣)를 보(補)합니다. 그리고 강근장골(强筋壯骨: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다)합니다.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은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허리와 엉덩이, 관절이 아프고 한 번씩 어지러우며 잠이 잘 오지 않고 손발이 덥고 대변이 건조합니다. 보간신자음(補肝腎滋陰: 간신을 보하고 음진액을 더하다)하고 강근장골(强筋壯骨)합니다.
기혈휴허증(氣血虧虛證)은 몸 전체가 다 약해진 경우로 기력이 전부 다 소모되어서 약해진 경우, 출산후 오래되었는데도 아랫배가 완전히 꺼지지 않고 배에 힘이 없으며, 머리카락이 삐지고 혈색이 많이 안 좋고 빈혈이 같이 옵니다. 빈혈도 있고 피로하고 기운도 없으며, 팔다리가 저리고 시리며 비실비실합니다. 익기양혈(益氣養血: 기를 더하고 혈을 기르다)하고 강근장골(强筋壯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