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수족냉증 치료

서초교대 2022.12.07 12:12
질환 정보
환자 정보
1 2020-12-29
안녕하세요. 아이가 추위에 민감한 편입니다.
조금만 추워도 재채기를 하고 손,발이 너무 차가워져서 겨울에는 수면 양말, 장갑을 항상 껴야 하는데요.. 아이가 너무 답답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서초교대 함소아한의원 김한빛 원장입니다.

아이의 수족냉증, 손발이 찬 증상 때문에 걱정이 크신 것 같습니다.

우리가 보통 수족냉증이라고 할 때는, 추위를 느끼지 않을만한 기온임에도 불구하고 손이나 발, 혹은 두 곳 모두에서 냉기를 느끼는 증상을 말합니다.

수족냉증의 원인에 대해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주로 말초혈관에 혈액공급이 부족해져서 과도하게 냉기를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주로 출산을 한 여성이나, 40대 이상의 중년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기 떄문에 아이가 실제로 수족냉증일 가능성은 아주 크지는 않습니다.


한의학적으로는 비위의 기능이 약할 때 수족냉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봅니다.
이런 관점이라면 어린 아이들도 체질, 비위기능의 튼튼한 정도에 따라서는 수족냉증 혹은 수족냉증까지는 아니더라도 평소에 항상 손발이 조금 싸늘한 정도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임상적으로 보면 보통 체형이 마른 편이거나 식사량이 적은 아이들에게서 이런 현상들이 많이 관찰됩니다.
우선 아이가 크게 불편해하지 않는다면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말씀해주신 내용 중에 조금만 추워도 재채기를 한다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외부기온의 변화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우선 집에서 꾸준히 족욕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건식족욕이 많이 나와있으니 간편하게 족욕을 자주 해주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외출시에는 손끝, 발끝이 최대한 추위에 노출이 안되도록 장갑, 두꺼운 양말 등을 활용하시구요.

그리고 꾸준히 뜸(안전한 전자뜸) 치료를 하는 것도 수족냉증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필요한 경우 비위기능을 보강하는 한약을 쓰기도 합니다. 비위기능이 튼튼하지 못하면 혈액을 손끝발끝으로 밀어내는 추동력이 약해져서 수족냉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서초교대 함소아한의원 김한빛 원장입니다. 아이의 수족냉증으로 고민이 많으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