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진 이후 복통이 너무 잦아요
부산 해운대
2022.06.27 15:25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3-02-07
안녕하세요~
초 3 여아 엄마입니다.
지난 4월 온 가족이 코로나 확진을 받았었는데요.
다 낫고 나서도 아이가 계속 배가 아프다고 해서 걱정이네요.
집 근처 병원에서
초 3 여아 엄마입니다.
지난 4월 온 가족이 코로나 확진을 받았었는데요.
다 낫고 나서도 아이가 계속 배가 아프다고 해서 걱정이네요.
집 근처 병원에서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해운대 함소아한의원 최선영 원장입니다.
가족들이 코로나에 확진되어 많이 힘드셨을텐데, 그 이후에 아이가 복통 증상이 이어지고 있어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장염으로 인한 복통으로 의심되어 입원 치료까지 받으셨는데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네요.
복통의 증상은 주로 자기 전에 배꼽 주변이 콕콕 쑤시는 통증이 있다고 하셨고, 간식을 끊었다고 하셨는데
아침이나 점심 식사 후에도 통증이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코로나 확진 이전에는 복통이 전혀 없었는지, 소화는 잘 되는 편이었는지, 식욕은 어땠는지도 정확한 진료에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현재는 코로나 감염 확산세가 상당히 줄어들었지만, 올해 초에 감염자가 치솟은 뒤로 코로나 후유증으로 힘들어하는 분들이 아주 많습니다.
영국보건의료 치료지침(NICE)의 연구에 따르면 급성 코로나19 감염 후 지속적인 허약증상을 경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따라서 코로나 확진 이후에 새롭게 생긴 증상이 3주나 그 이상 이어진다면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컨디션과 증상을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
감염 이후 3주간 지속되는 급성 포스트코로나증후군에서는 피로와 수면장애,
12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포스트코로나증후군에는 피로, 불안,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호흡곤란,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과 가슴 통증, 두근거림 등의 심혈관계 증상, 전신적인 피로, 발열, 통증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 '브레인 포그'로 알려진 머리 속이 뿌옇고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고,
복통, 메스꺼움 및 구토, 설사, 체중 감소 및 식욕 감소 등의 소화기 증상도 적지 않다고 하구요.
코로나 후유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알려진 '미각과 후각 소실' 처럼 귀, 코, 목 등에 이명, 귀 통증, 인후통,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드물지만 피부 발진이나 탈모와 같은 피부 증상이나 우울증, 불안 등의 심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코로나 이후에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이 매우 다양해서 오히려 정확한 진단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코로나 감염 이후 많은 사람들이 여러 증상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므로,
코로나 바이러스를 치료했다고 하더라도 이후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증상을 살펴야 합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는 스스로 코로나 후유증에 대해 인지하고 살필 수 없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세심하게 아이의 변화를 관찰해주셔야 합니다. 평소보다 유독 피곤해하거나 짜증이 늘고 식사량이 줄어든다면
무엇이 아이를 불편하게하는지 알아내고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데 후유증으로 장염이 지속될 수 있는지 의아하시겠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코로나 후유증은 그 증상이 매우 다양하므로 해당 증상이 코로나 감염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먼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신체의 전반적인 면역력과 체력이 저하되었을 수 있습니다.
같은 음식을 먹어도 어떤 사람은 배탈이 나고 어떤 사람은 별 탈 없이 지나가기도 하는 건 개개인의 면역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감염 이후로 기초적인 면역력이 떨어졌다면 음식물 속 미량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도 감당이 안 될 수 있어요.
개인 상태에 맞춰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한의약 치료를 받으며 체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맞춰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 과정에서 항생제 등을 복용하면서 장내 유익균의 균형이 깨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꼭 필요한 약이지만, 건강에 도움이 되는 체내 물질들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는 장내 환경이 회복될 수 있도록 소화기 보강 치료와 유산균 제제 섭취가 필요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코로나 후유증의 양상이 복잡하므로 우리 아이의 건강 회복을 위해 가까운 한의원이나 병의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단, 치료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아이와 가족분들 모두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가족들이 코로나에 확진되어 많이 힘드셨을텐데, 그 이후에 아이가 복통 증상이 이어지고 있어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장염으로 인한 복통으로 의심되어 입원 치료까지 받으셨는데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네요.
복통의 증상은 주로 자기 전에 배꼽 주변이 콕콕 쑤시는 통증이 있다고 하셨고, 간식을 끊었다고 하셨는데
아침이나 점심 식사 후에도 통증이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코로나 확진 이전에는 복통이 전혀 없었는지, 소화는 잘 되는 편이었는지, 식욕은 어땠는지도 정확한 진료에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현재는 코로나 감염 확산세가 상당히 줄어들었지만, 올해 초에 감염자가 치솟은 뒤로 코로나 후유증으로 힘들어하는 분들이 아주 많습니다.
영국보건의료 치료지침(NICE)의 연구에 따르면 급성 코로나19 감염 후 지속적인 허약증상을 경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따라서 코로나 확진 이후에 새롭게 생긴 증상이 3주나 그 이상 이어진다면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컨디션과 증상을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
감염 이후 3주간 지속되는 급성 포스트코로나증후군에서는 피로와 수면장애,
12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포스트코로나증후군에는 피로, 불안,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호흡곤란,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과 가슴 통증, 두근거림 등의 심혈관계 증상, 전신적인 피로, 발열, 통증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 '브레인 포그'로 알려진 머리 속이 뿌옇고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고,
복통, 메스꺼움 및 구토, 설사, 체중 감소 및 식욕 감소 등의 소화기 증상도 적지 않다고 하구요.
코로나 후유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알려진 '미각과 후각 소실' 처럼 귀, 코, 목 등에 이명, 귀 통증, 인후통,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드물지만 피부 발진이나 탈모와 같은 피부 증상이나 우울증, 불안 등의 심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코로나 이후에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이 매우 다양해서 오히려 정확한 진단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코로나 감염 이후 많은 사람들이 여러 증상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므로,
코로나 바이러스를 치료했다고 하더라도 이후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증상을 살펴야 합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는 스스로 코로나 후유증에 대해 인지하고 살필 수 없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세심하게 아이의 변화를 관찰해주셔야 합니다. 평소보다 유독 피곤해하거나 짜증이 늘고 식사량이 줄어든다면
무엇이 아이를 불편하게하는지 알아내고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데 후유증으로 장염이 지속될 수 있는지 의아하시겠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코로나 후유증은 그 증상이 매우 다양하므로 해당 증상이 코로나 감염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먼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신체의 전반적인 면역력과 체력이 저하되었을 수 있습니다.
같은 음식을 먹어도 어떤 사람은 배탈이 나고 어떤 사람은 별 탈 없이 지나가기도 하는 건 개개인의 면역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감염 이후로 기초적인 면역력이 떨어졌다면 음식물 속 미량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도 감당이 안 될 수 있어요.
개인 상태에 맞춰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한의약 치료를 받으며 체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맞춰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 과정에서 항생제 등을 복용하면서 장내 유익균의 균형이 깨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꼭 필요한 약이지만, 건강에 도움이 되는 체내 물질들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는 장내 환경이 회복될 수 있도록 소화기 보강 치료와 유산균 제제 섭취가 필요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코로나 후유증의 양상이 복잡하므로 우리 아이의 건강 회복을 위해 가까운 한의원이나 병의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단, 치료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아이와 가족분들 모두의 건강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