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 치료시기
서초교대
2022.03.28 12:11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0-09-15
안녕하세요. 초6 아이 엄마입니다.
새 학기가 시작되고 학원이 추가가 되면서 아이가 틱 증상처럼 큼큼 거리는 소리를 자주 내요.. 코 찡긋거릴 때도 있고요..
병원 가
새 학기가 시작되고 학원이 추가가 되면서 아이가 틱 증상처럼 큼큼 거리는 소리를 자주 내요.. 코 찡긋거릴 때도 있고요..
병원 가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서초교대 함소아 한의원 김한빛 원장입니다.
우선 우리 아이가 큼큼 거리고 코를 찡긋거리는 증상이 있어 틱 증상인지 의심중이시군요. 새학기가 시작되는 시기는 환절기인만큼, 해당 증상이 틱 증상이 아니라 실제로 콧속이 불편해서 나타나는 증상은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환절기 비염 등으로 코점막이 붓거나 콧물이 생겨 목 뒤로 넘어가는 증상(후비루)이 생기면 코를 찡긋거릴 수도 있고, 실제로 목에 이물감이 있어서 큼큼거릴 수도 있거든요. 따라서 호흡기를 비롯한 전반적인 아이 상태를 바로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개 틱은 1개월~1년 내에 좋아지는 일과성 틱장애의 경과를 거치게 됩니다. 즉, 특별한 치료 없이도 좋아지기도 합니다. 다만, 몇가지 생활 관리법을 지켜주셔야 하는데요. 발병시기가 2주 2주~1개월 이내라면, 몇가지 생활관리법으로 증상 호전 여부를 지켜볼 수 있습니다.
1. 아이 증상에 대해 언급하지 마세요. 하지마, 왜그래, 어디불편해, 등의 관심은 물론, 혼내시는건 절대 안 됩니다. 아이가 하고 싶어서 하는게 아니에요. 그냥 모른척 해주세요.
2. 아이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는 Tv, 스마트폰 등 영상물은 차단해주세요.
3. 아이 증상이 특히 많이 보이는 활동은 피해주세요.
4. 낮에 밖에서 1시간 이상 뛰어놀 수 있게 해주세요.
5. 정서적 공감 시간을 늘려주세요. 아이와 대화시간을 늘려주세요.
위와 같은 생활관리를 하면서, 틱증상이 조금씩 줄어든다면 특별한 치료는 필요없습니다. 계속 같은 식으로 지켜봐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고, 재발이 잦거나, 학업생활이나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한의원에서는 한약, 침, 뜸, 부항치료를 하게 되는데요. 아이에게 스트레스가 쌓여 기가 뭉친 경우,겁이 많고 예민한 경우 등으로 구분하여 아이에게 맞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발병 기간과 증상의 중증도 및 치료 경과에 따라 기간이 달라지겠지만 최소 3개월 이상 치료를 하게 됩니다.
우선 우리 아이가 큼큼 거리고 코를 찡긋거리는 증상이 있어 틱 증상인지 의심중이시군요. 새학기가 시작되는 시기는 환절기인만큼, 해당 증상이 틱 증상이 아니라 실제로 콧속이 불편해서 나타나는 증상은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환절기 비염 등으로 코점막이 붓거나 콧물이 생겨 목 뒤로 넘어가는 증상(후비루)이 생기면 코를 찡긋거릴 수도 있고, 실제로 목에 이물감이 있어서 큼큼거릴 수도 있거든요. 따라서 호흡기를 비롯한 전반적인 아이 상태를 바로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개 틱은 1개월~1년 내에 좋아지는 일과성 틱장애의 경과를 거치게 됩니다. 즉, 특별한 치료 없이도 좋아지기도 합니다. 다만, 몇가지 생활 관리법을 지켜주셔야 하는데요. 발병시기가 2주 2주~1개월 이내라면, 몇가지 생활관리법으로 증상 호전 여부를 지켜볼 수 있습니다.
1. 아이 증상에 대해 언급하지 마세요. 하지마, 왜그래, 어디불편해, 등의 관심은 물론, 혼내시는건 절대 안 됩니다. 아이가 하고 싶어서 하는게 아니에요. 그냥 모른척 해주세요.
2. 아이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는 Tv, 스마트폰 등 영상물은 차단해주세요.
3. 아이 증상이 특히 많이 보이는 활동은 피해주세요.
4. 낮에 밖에서 1시간 이상 뛰어놀 수 있게 해주세요.
5. 정서적 공감 시간을 늘려주세요. 아이와 대화시간을 늘려주세요.
위와 같은 생활관리를 하면서, 틱증상이 조금씩 줄어든다면 특별한 치료는 필요없습니다. 계속 같은 식으로 지켜봐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고, 재발이 잦거나, 학업생활이나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한의원에서는 한약, 침, 뜸, 부항치료를 하게 되는데요. 아이에게 스트레스가 쌓여 기가 뭉친 경우,겁이 많고 예민한 경우 등으로 구분하여 아이에게 맞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발병 기간과 증상의 중증도 및 치료 경과에 따라 기간이 달라지겠지만 최소 3개월 이상 치료를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