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폐렴 후유증 문의드려요.

노원 2025.01.07 10:43
질환 정보
감기,보약 ,면역력
환자 정보
1 2019-06-20
4달전 코감기를 시작으로 약을 2달정도 먹였습니다. 한달전에는 기관지염폐렴진단을 받고 이어서 양약을 계속 먹였더니 다른 곳은 괜찮아졌는데 폐렴 후유증인건지 기침이

답변내용

안녕하세요,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최승용입니다.
아이가 폐렴 이후 기침이 호전되지 않고 이어지고 있어서 걱정이신가보군요.

흔히 감기를 만병의 근원이라고 하여 감기를 초기에 확실하게 잡아야 한다는 잘못된 상식이 널리 퍼져있습니다.
초기에 콧물과 약간의 두통이 진행되면 코가 답답하고,후비루로 목이 불편,그리고 좀 더 진행되면 기침을 하게 되며 가장 심한 경우에는 자면서 기침을 하여 잠을 설치다가 반복된 기침으로 폐까지 염증이 도달하는 폐렴이 있습니다만, 이런 단계별 증상들은 우리몸이 밖에서 들어온 바이러스를 밀어내기 위한 몸부림이라는 사실입니다.

이런 증상은 그 자체로 물리적으로 먼지와 바이러스를 몰아내기 위해 콧물을 내고 코 안이 부어서 막아내며 기침으로 뿜어내는 것입니다.
이런 증상을 억누르게 되면 바이러스가 몸 밖으로 나가지 못하여 점점 수가 많아지게 되며 특히 열이 난다 해서 해열제를 쓰는 경우 높은 온도에 약한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과도 보지 못하게 됩니다,

이미 지나간 일이지만 초기에 감기 때 해열제를 덜 썻어야 했으며 기침이 아닌 가벼운 콧물 단계의 감기는 섣불리 약을 쓰지 않고 버티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 이어진 호흡기에 대해 무리한 억제 노력으로 인해서 호흡기가 살기 위해 몸부림치는 것이 현재의 긴 기침의 원인일수있겠습니다.

물론 기관지를 힘나게 해주는 보약을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겠습니다만, 이후 이어질 추가적인 감기에 걸릴 경우 증상에 레벨 자체를 평가하여 견딜 것들은 견뎌주고 증상 억제를 해야할때는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도 아이들을 돌볼 때 아이들이 복용 중인 양약 처방전을 들여다 볼 때가 있습니다. 그 약이 강한 약일 경우 오히려 짧은 기간 그렇게 처방하시는 양방선생님의 의도를 존중하는것도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반대로 별 것 아닌 증상에 콧물 말리는 약,항생제,소화제,정장제 등을 왕창 섞어내는 처방전이라면 저는 조심스럽게 다른 병원으로 한번 더 가보시라 권유 드리곤 합니다.

한의학적으로는 기관지를 너무 오래하는 경우 의외로 소화기를 주목하기도 합니다.
이건 어린이의 특성인데 소화기가 불편하면 가래가 많아지고 기침도 길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가까운 소아전문한의원에 점검을 받아보시기 권유 드리며 자기 전 공복을 2~3시간하고 차가운 것 그리고 면 류를 금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