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제증 문의
서초교대
2021.11.01 12:20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8-11-22
안녕하세요. 5살 엄마입니다.
원래 잠들면 깨지 않고 푹 자던 아이인데, 몇 달 전부터 깊게 자지 못하는 거 같아 걱정스러운 마음에 문의드립니다.
조금 한 소리에도 ?
원래 잠들면 깨지 않고 푹 자던 아이인데, 몇 달 전부터 깊게 자지 못하는 거 같아 걱정스러운 마음에 문의드립니다.
조금 한 소리에도 ?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서초교대 함소아 한의원 김한빛 원장입니다. 우리 아이 수면 패턴이 변해서 걱정이 많으시군요. 우선, 아이들에게서 수면 장애는 흔하게 나타나는 문제 중 하나이지만, 아이의 수면의 질이 좋지 않으면 아이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일상생활에도 영향이 많이 가게 되어 지속적으로 수면문제가 나타나면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파악하고 교정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질 좋은 수면을 위해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낮시간, 특히 오전에는 햇빛 보면서 산책이나 야외활동을 하는 게 좋습니다. 아이의 생체리듬을 맞춰주기 위함입니다. 2) 자기 전 2시간에는 공복 유지해야 합니다. 따뜻한 우유가 아이의 마음을 안정시켜줄 수도 있겠지만, 어린 아이들의 경우 속이 불편하면 숙면을 취하기가 어렵습니다. 자기 전에는 물 외에는 아무것도 안 먹는게 오히려 더 좋습니다. 3) 잠자리는 조금 시원하게 해주시면 좋습니다. 아이들은 등이 시원해야 잠을 잘 자는데 특히 우리 아이처럼 자기 전에 땀을 많이 흘리는 아이는 속열이 많은 아이일 수 있기 때문에 이부자리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4) 저녁식사 이후에는 활동적인 놀이보다는 정적인 활동 위주로 하고 잠들 수 있게 해주시고 집안의 불은 생활할 수 있을정도로만 약하게 켜주세요. 강한 불빛 자극이 있는 TV나 핸드폰은 보지 않는게 좋습니다.
위와 같은 생활변화에도 아이 수면에 변화가 없다면 아이의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한방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 따라 수면 장애가 나타나는 원인이 열이 많아서인지, 속이 불편해서인지, 평상시에 예민해서인지, 혹은 호흡기가 불편해서인지 확인해보고 원인에 맞는 한약치료와 함께 침, 뜸, 부항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우선 질 좋은 수면을 위해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사항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낮시간, 특히 오전에는 햇빛 보면서 산책이나 야외활동을 하는 게 좋습니다. 아이의 생체리듬을 맞춰주기 위함입니다. 2) 자기 전 2시간에는 공복 유지해야 합니다. 따뜻한 우유가 아이의 마음을 안정시켜줄 수도 있겠지만, 어린 아이들의 경우 속이 불편하면 숙면을 취하기가 어렵습니다. 자기 전에는 물 외에는 아무것도 안 먹는게 오히려 더 좋습니다. 3) 잠자리는 조금 시원하게 해주시면 좋습니다. 아이들은 등이 시원해야 잠을 잘 자는데 특히 우리 아이처럼 자기 전에 땀을 많이 흘리는 아이는 속열이 많은 아이일 수 있기 때문에 이부자리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4) 저녁식사 이후에는 활동적인 놀이보다는 정적인 활동 위주로 하고 잠들 수 있게 해주시고 집안의 불은 생활할 수 있을정도로만 약하게 켜주세요. 강한 불빛 자극이 있는 TV나 핸드폰은 보지 않는게 좋습니다.
위와 같은 생활변화에도 아이 수면에 변화가 없다면 아이의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한방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 따라 수면 장애가 나타나는 원인이 열이 많아서인지, 속이 불편해서인지, 평상시에 예민해서인지, 혹은 호흡기가 불편해서인지 확인해보고 원인에 맞는 한약치료와 함께 침, 뜸, 부항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