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이 심할 때
왕십리
2021.10.23 09:11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8-10-30
36개월인데 감기 걸리면 항상 기침을 좀 심하게 해요
심할 때는 기침하다가 토할 때도 있구요
지금 또 감기 기운이 있는것 같은데
기침 심한 아이 관리법이 궁급합니다.
심할 때는 기침하다가 토할 때도 있구요
지금 또 감기 기운이 있는것 같은데
기침 심한 아이 관리법이 궁급합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왕십리 함소아 장선영 원장입니다.
기침 관리 방법에 대해 질문 주셨네요.
기침은 목에 이물감이 느껴질 때 배출하기 위한 방어기능인데요.
가래 같은 이물질이 있을 때는
약물로 기침을 무조건 억제하는 것 보다는
적절한 기침으로 가래배출을 도와주는 것이 좋아요.
아이들은 가래를 잘 뱉어내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기관지 벽에 가래가 달라붙어 있으면 잘 떨어지지 않은 경우도 많아요.
이럴때는 엄마 손바닥을 오목하게 해서
등부분을 가볍게 두드려 주시면 도움이 되요
또한 충분한 수분섭취와 습도도 중요한데요.
물은 가래를 묽게해줘 배출을 수월하게 해줍니다.
또한 건조한 공기는 기도를 자극해서 기침을 심하게 할 수 있으므로
50~60%정도의 적절한 습도를 맞춰주시기를 권장해드립니다.
한 논문에 따르면 꿀이 기침 완화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아이가 돌이 지났으므로 꿀을 먹여보시는것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폐기운이 약하고 건조한 아이들이
기침이 심하고 오래가기 쉽다고 봐요.
이런 경우 폐기운을 강화하고 호흡기 점막을 촉촉하게 하는 치료를 통해
기침을 조절하는 치료를 하게됩니다.
아이 증상으로 걱정이 많으실텐
궁금하신 부분에 대해 언제든 문의주시면
자세히 답변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기침 관리 방법에 대해 질문 주셨네요.
기침은 목에 이물감이 느껴질 때 배출하기 위한 방어기능인데요.
가래 같은 이물질이 있을 때는
약물로 기침을 무조건 억제하는 것 보다는
적절한 기침으로 가래배출을 도와주는 것이 좋아요.
아이들은 가래를 잘 뱉어내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기관지 벽에 가래가 달라붙어 있으면 잘 떨어지지 않은 경우도 많아요.
이럴때는 엄마 손바닥을 오목하게 해서
등부분을 가볍게 두드려 주시면 도움이 되요
또한 충분한 수분섭취와 습도도 중요한데요.
물은 가래를 묽게해줘 배출을 수월하게 해줍니다.
또한 건조한 공기는 기도를 자극해서 기침을 심하게 할 수 있으므로
50~60%정도의 적절한 습도를 맞춰주시기를 권장해드립니다.
한 논문에 따르면 꿀이 기침 완화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아이가 돌이 지났으므로 꿀을 먹여보시는것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폐기운이 약하고 건조한 아이들이
기침이 심하고 오래가기 쉽다고 봐요.
이런 경우 폐기운을 강화하고 호흡기 점막을 촉촉하게 하는 치료를 통해
기침을 조절하는 치료를 하게됩니다.
아이 증상으로 걱정이 많으실텐
궁금하신 부분에 대해 언제든 문의주시면
자세히 답변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