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안먹는 아이 어떻게하나요?
서초교대
2021.06.08 14:11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6-11-16
저희 아이가 밥을 너무 안먹어요 우유를 좋아해서 우유라도 주는데 고기나 이런것도 안먹으려하고 조금이라도 질기거나 씹히는 식감 자체를 안좋아하고 아예 거부를 하더라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서초교대 함소아 한의원 김한빛 원장입니다. 아이가 밥을 잘 안 먹어서 걱정이 많으시군요.. 우선 아이가 식감에 좀 예민하게 반응하는 편으로 보입니다. 그런 경우에는 여유를 가지시고 여러가지 식감에 조금씩 노출을 해주면서, 식사는 아이가 잘 먹는 것들 위주로 주세요. 고기나 채소는 아이가 먹기 편하도록 잘 다져서 주시고, 밥은 조금 무르게 주시고요. 아이가 자라고 입안의 크기가 커지면 씹는 것이 이전보다 좀더 용이해질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연령대에는 우유는 400~500ml 이내면 충분합니다. 우유보다는 밥, 고기, 채소 등으로 영양분을 보충해야할 때이지요. 우유를 많이 주시면 식사량이 더 적어집니다.
뱃골이 작은 아이는 소화가 잘 안 되면 식욕이 떨어지게 됩니다. 배가 불편하니 음식이 당기질 않는 것이지요. 그리고 밤에 잠도 설칠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소화불량(식체)이 복통,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이 아닌 식욕부진으로 나타나는 것이지요. 이런 아이들은 일부러 더 많이 먹이려고 하면 속이 더 불편해져서 더 안 먹으려고 할 것입니다. 그래서 식사시간 전에는 물, 우유, 다른 간식류를 먹지 않게 하는 것이 좋고, 자기 전 2시간은 공복상태로 만들어주어 소화기가 쉴 시간을 주세요.
1:1 진료를 통해 우리 아이의 식욕이 적어진 원인을 살펴보아, 만성적인 소화불량으로 인한 경우라면, 만성적인 식체를 풀어주고 소화기를 편안하게 해주는 치료를 통해 우리 아이의 식사량을 조금씩 더 늘려나갈 수 있게 도와주세요.
뱃골이 작은 아이는 소화가 잘 안 되면 식욕이 떨어지게 됩니다. 배가 불편하니 음식이 당기질 않는 것이지요. 그리고 밤에 잠도 설칠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소화불량(식체)이 복통,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이 아닌 식욕부진으로 나타나는 것이지요. 이런 아이들은 일부러 더 많이 먹이려고 하면 속이 더 불편해져서 더 안 먹으려고 할 것입니다. 그래서 식사시간 전에는 물, 우유, 다른 간식류를 먹지 않게 하는 것이 좋고, 자기 전 2시간은 공복상태로 만들어주어 소화기가 쉴 시간을 주세요.
1:1 진료를 통해 우리 아이의 식욕이 적어진 원인을 살펴보아, 만성적인 소화불량으로 인한 경우라면, 만성적인 식체를 풀어주고 소화기를 편안하게 해주는 치료를 통해 우리 아이의 식사량을 조금씩 더 늘려나갈 수 있게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