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문의
전주
2021.05.21 10:13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8-03-07
교통사고로 상담 드립니다. 저번주에 가벼운 교통사고를 당하고 난 뒤에 아이가 다행이 다치거나 그러지는 않았는데, 좀 놀랬는지, 사고 이 후에 잠도 잘 못자고 밥도 잘 ?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전주 함소아 박상구 원장입니다.
상담하신 글을 보니 지난주에 가벼운 교통사고를 당하셨나 보군요. 일단 사고가 크지 않아서 다행입니다.
다만 아이가 사고 이후로 식욕이 줄고 또 저녁에 수면이 다소 좋지 않다고 하셨군요.
보통 아이들은 교통사고시 성인보다 인체가 연약해서 골절이나 인대 등의 손상은 크지 않지만 사고시 처음 경험하는 큰 소음과 함께 크게 놀랄 수 있습니다.
성인 또한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충격에 의하여 당분간 운전에 대한 불안감과 심리적 위축이 생기듯이 아이들 또한 이러한 정신적인 놀람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교통사고에 의한 정신적인 놀람은 크게 대략 3가지 정도로 나타납니다.
첫째가 식욕부진이고 둘째가 수면 불량, 즉 야제 증상이 나타나고 셋째가 짜증이 늘면서 엄마와 잘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증상입니다.
이는 정신적인 놀람에 의하여 발생하는 생리적 기전입니다.
하지만 대략 큰 외상이 없는 한 이러한 경우에 아이들은 1-2개월이면 회복이 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한의학적으로 식욕부진이나 야제 증상에 대한 간단한 치료 요법이 있고 또 필요한 경우 한약을 처방하기도 합니다.
야제 증상은 교통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린 영유아들이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침치료는 어린 아이들은 성인과 같이 큰 일반 니들 침으로 하기보다는 사봉혈의 따주기 요법이나 피내침 혹은 자석침 등으로 크게 두려움 없이 진행 할 수가 있습니다.
뜸 치료 또한 이전과 같이 쑥이나 화상을 입히는 뜸이 아니라 전자식으로 온도를 너무 뜨겁지 않게 미지근하게 조절하여 아이가 두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뜸으로 대체할 수 가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다소 심하거나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한의학적인 처방이 처방하기도 합니다.
큰 사고가 아니지만 아이가 빨리 안정되기를 바라면서 혹시 증상이 진행되는 경우, 가까운 소아한의원으로 내원하시면 아마 선생님께서 진찰후에 자세히 설명해주실 것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상담하신 글을 보니 지난주에 가벼운 교통사고를 당하셨나 보군요. 일단 사고가 크지 않아서 다행입니다.
다만 아이가 사고 이후로 식욕이 줄고 또 저녁에 수면이 다소 좋지 않다고 하셨군요.
보통 아이들은 교통사고시 성인보다 인체가 연약해서 골절이나 인대 등의 손상은 크지 않지만 사고시 처음 경험하는 큰 소음과 함께 크게 놀랄 수 있습니다.
성인 또한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충격에 의하여 당분간 운전에 대한 불안감과 심리적 위축이 생기듯이 아이들 또한 이러한 정신적인 놀람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교통사고에 의한 정신적인 놀람은 크게 대략 3가지 정도로 나타납니다.
첫째가 식욕부진이고 둘째가 수면 불량, 즉 야제 증상이 나타나고 셋째가 짜증이 늘면서 엄마와 잘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증상입니다.
이는 정신적인 놀람에 의하여 발생하는 생리적 기전입니다.
하지만 대략 큰 외상이 없는 한 이러한 경우에 아이들은 1-2개월이면 회복이 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한의학적으로 식욕부진이나 야제 증상에 대한 간단한 치료 요법이 있고 또 필요한 경우 한약을 처방하기도 합니다.
야제 증상은 교통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린 영유아들이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침치료는 어린 아이들은 성인과 같이 큰 일반 니들 침으로 하기보다는 사봉혈의 따주기 요법이나 피내침 혹은 자석침 등으로 크게 두려움 없이 진행 할 수가 있습니다.
뜸 치료 또한 이전과 같이 쑥이나 화상을 입히는 뜸이 아니라 전자식으로 온도를 너무 뜨겁지 않게 미지근하게 조절하여 아이가 두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뜸으로 대체할 수 가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다소 심하거나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한의학적인 처방이 처방하기도 합니다.
큰 사고가 아니지만 아이가 빨리 안정되기를 바라면서 혹시 증상이 진행되는 경우, 가까운 소아한의원으로 내원하시면 아마 선생님께서 진찰후에 자세히 설명해주실 것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