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틱 문의

전주 2021.03.19 10:38
질환 정보
환자 정보
1 2014-01-23
안녕하세요? 올해 7세가 된 남자 아이가 있는데, 지난 가을부터 눈을 깜빡거리는 증상이 가끔 있었는데, 겨울에 없어지다가 지금 다시 증상이 심해지는 거 같아요. 그냥 잘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전주 함소아 한의원 박상구 원장입니다.

상담하신 글을 보니 이제 7세에 해당되는 사내아이를 기르고 계시는 맘이신 듯 하네요.

내용은 평소 비염이 있던 아이가 지난 해부터 눈깜박거림이 있다가 겨울에 소실이 된 후 최근 봄에 다시 발생한다는 내용이군요.

혹시 틱증상이 아닌지 엄마가 많이 걱정스럽다고 하셨네요.

상담하신 글만으로는 일단 틱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내용상으로 봐서는 아마 틱초기 증상이거나 아니면 유사틱(틱과 유사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틱이라고 해도 단순성 틱일 가능성이 높으니 일단 너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하여 성인뿐만이 아니라 아이들 또한 정상적인 유치원과 학업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아서 성인은 심리상담과 정신과 진료가 늘었고 아이들은 틱증상이 이전에 비하여 다소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단순틱
대부분 4주 이내에 발생하는 증상으로 자연 소실되는 경우가 90% 이상입니다. 즉 아이에게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생활관리만 하더라도 스스로 없어집니다.

대개 증상은 눈깜빡거림, 얼굴 씰룩 거리기, 고개 흔들기 등 행동틱으로 나타나는데, 증상이 심하지 않고 경미하여 자세히 관찰하는 경우에만 알수 있고 단체생활이나 학업 등을 수행하는데 큰 문제가 없습니다.

아마 현재 상담하신 엄마의 아이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만성틱

4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틱이라고 합니다. 이때에는 단순히 행동틱뿐만이 아니라 소리를 내는 음성틱으로 발전되기도 하고 간혹 행동과 소리를 함께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주로 유치원을 넘어서 초등학교 이후로 많이 발생하고 증상이 호전되었다가 다시 발생하거나 또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만성틱때부터는 치료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외에도 매우 심한 뚜렛 증후군이 있지만 이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경우이기에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답니다.

주의하실 사항은
일단 집에서 혹시 스마트폰이나 패드 그리고 전자 게임 등을 줄여주세요.

아이가 어떠한 놀이나 게임 등을 하면서 틱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는 시간을 줄이거나 차단해주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절대로 틱에 대한 지적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해주세요.

틱 증상이 발생해도 단순틱은 대략 80-90% 가 자연스럽게 없어지게 되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다만 아이의 증상이 심해지거나 봄 이후로도 지속하게 되면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