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마다 깨서 우는 아이, 미치겠어요
수원시청
2021.02.23 14:15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9-09-07
안녕하세요 19년생 여자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입니다
저희 아이가 한달전부터 깨서 울고 불고 소리 지르고 잠을 못자고 있는데
대체 왜그럴까요? 밤마다 3~4번씩은 기
저희 아이가 한달전부터 깨서 울고 불고 소리 지르고 잠을 못자고 있는데
대체 왜그럴까요? 밤마다 3~4번씩은 기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수원시청 함소아 한의원 조혜영 원장입니다.
아이가 밤마다 잠을 설치니, 엄마도 많이 힘드시겠습니다.
이전에는 잘 자던 아이가 최근들어 갑자기 그러니 더 당황스러울 듯 하네요.
밤에 깨서 우는 것을 ‘야제’라고 합니다. 밤 ‘야’자에 울 ‘제’자. 말 그대로 밤에 깨서 우는 증상을 뜻합니다.
야제는 증상을 의미할 뿐, 증상을 불러올 수 있는 원인은 다양하지요.
대표적인 야제의 원인으로는
1. 심열(心熱)
2. 소화기 문제
3. 놀라서
4. 구내염, 이앓이 등 입안의 병
을 들 수 있습니다.
보통 야제 치료를 오는 경우는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통잠을 자본 적이 없어요’라고 하시는 일이 많습니다.
상담 올려주신 우리 아이 같은 경우는 최근들어 갑자기 증상이 생긴 것으로 보이네요.
이렇게 없던 증상이 갑자기 생겼을 때는 그 즈음에 뭔가 변화가 생긴 것은 없는지 점검을 해보게 됩니다.
계절적으로 겨울에 들어서면서 잘 못 자는 경우는 잠자리가 너무 더워서 그럴 수 있습니다.
엄마, 아빠는 얇게 입고 자면서 아이는 수면조끼까지 입히고 재우는 경우, 그것만 벗겨줘도 잘 자게 되기도 합니다.
엄마가 추우니 아이도 추울까 싶어 온수매트를 틀고 재우거나, 난방을 과하게 하기도 하지요.
간혹 건조함으로 코막힘이 생겨서 이로 인해 자주 깨기도 합니다.
동생이 생기거나 어린이집 첫 등원, 새로운 어린이집으로 변경, 이사 등 환경의 변화가 있어도 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크게 놀라거나 교통사고 같은 사고 이후에도 자주 깨서 울 수 있구요.
변비가 생기거나 밤에 과식하는 습관 등 소화기에 부담을 주는 생활을 하는 경우에도 야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기 전 1-2시간 정도는 물 이외에는 가급적 먹지 않도록 하고, 유산균 잘 챙겨 먹이면서 소화기를 편안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코로나로 낮 동안 활동량이 급격히 줄면서 밤에 잠을 쉽게 못 이루고 자주 깨는 일도 잦습니다.
날이 따뜻해지고 있으니 낮 동안 충분히 뛰어놀 수 있도록 하고, 가급적 햇빛을 쐴 수 있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한의원에서는 아이의 증상과 상태, 생활 등을 점검하고, 원인을 찾아 침, 부항, 뜸 치료 및 필요시 한약 복용을 하면서 치료를 하게 됩니다.
의외로 상담을 통해 내가 모르고 있던 생활환경의 문제점을 고치거나 1-2회의 침, 부항치료 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좋은 수면은 건강한 생활에 기본입니다.
아이나 가족 모두의 행복한 생활을 위해 참지만 마시고, 한번 진료를 보시길 권합니다.
아이가 밤마다 잠을 설치니, 엄마도 많이 힘드시겠습니다.
이전에는 잘 자던 아이가 최근들어 갑자기 그러니 더 당황스러울 듯 하네요.
밤에 깨서 우는 것을 ‘야제’라고 합니다. 밤 ‘야’자에 울 ‘제’자. 말 그대로 밤에 깨서 우는 증상을 뜻합니다.
야제는 증상을 의미할 뿐, 증상을 불러올 수 있는 원인은 다양하지요.
대표적인 야제의 원인으로는
1. 심열(心熱)
2. 소화기 문제
3. 놀라서
4. 구내염, 이앓이 등 입안의 병
을 들 수 있습니다.
보통 야제 치료를 오는 경우는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통잠을 자본 적이 없어요’라고 하시는 일이 많습니다.
상담 올려주신 우리 아이 같은 경우는 최근들어 갑자기 증상이 생긴 것으로 보이네요.
이렇게 없던 증상이 갑자기 생겼을 때는 그 즈음에 뭔가 변화가 생긴 것은 없는지 점검을 해보게 됩니다.
계절적으로 겨울에 들어서면서 잘 못 자는 경우는 잠자리가 너무 더워서 그럴 수 있습니다.
엄마, 아빠는 얇게 입고 자면서 아이는 수면조끼까지 입히고 재우는 경우, 그것만 벗겨줘도 잘 자게 되기도 합니다.
엄마가 추우니 아이도 추울까 싶어 온수매트를 틀고 재우거나, 난방을 과하게 하기도 하지요.
간혹 건조함으로 코막힘이 생겨서 이로 인해 자주 깨기도 합니다.
동생이 생기거나 어린이집 첫 등원, 새로운 어린이집으로 변경, 이사 등 환경의 변화가 있어도 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크게 놀라거나 교통사고 같은 사고 이후에도 자주 깨서 울 수 있구요.
변비가 생기거나 밤에 과식하는 습관 등 소화기에 부담을 주는 생활을 하는 경우에도 야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기 전 1-2시간 정도는 물 이외에는 가급적 먹지 않도록 하고, 유산균 잘 챙겨 먹이면서 소화기를 편안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코로나로 낮 동안 활동량이 급격히 줄면서 밤에 잠을 쉽게 못 이루고 자주 깨는 일도 잦습니다.
날이 따뜻해지고 있으니 낮 동안 충분히 뛰어놀 수 있도록 하고, 가급적 햇빛을 쐴 수 있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한의원에서는 아이의 증상과 상태, 생활 등을 점검하고, 원인을 찾아 침, 부항, 뜸 치료 및 필요시 한약 복용을 하면서 치료를 하게 됩니다.
의외로 상담을 통해 내가 모르고 있던 생활환경의 문제점을 고치거나 1-2회의 침, 부항치료 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좋은 수면은 건강한 생활에 기본입니다.
아이나 가족 모두의 행복한 생활을 위해 참지만 마시고, 한번 진료를 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