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코가 뒤로넘어가는지 켁켁거려요... 비염이라고 하던데요, 치료받으면 좋아질까요?
이천
2020.11.21 11:57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2-05-02
코가 뒤로 넘어가는지 아이가 켁켁 거려요. 코도 막히는지 입을 항상 벌리고, 입으로 숨쉬는거 같아요. 코막힘이 심할 때는 이빈후과를 가는데, 이빈후과에서 비염이심하다
답변내용
비염은 약을 먹을 때는 덜하고, 안 먹으면 좀 나은 것 같다가 감기에 걸리면 재발하고, 환절기에 또 재발하고,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합니다. 이것은 한방에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만성비염중에는 비후성비염도 있습니다. 비후성비염은 비중격 만곡으로 많이 옵니다. 비후성비염은 양방에서는 수술을 권하죠. 한의원에서는 수술을 하지 않고 치료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천함소아한의원 장재찬대표원장입니다.
한의원에서는 한약으로 비염을 치료합니다.
폐경(肺經)에 열이 있는 경우에는 간헐적으로 코가 막히는데, 낮에 활동하면 코막힘이 감소되고 밤에는 좀 더 심해집니다. 일반적인 비염증상이 대부분 이렇습니다. 말할 때 콧소리가 나고 누렇거나 탁한 콧물이 흐로고, 후비루로 목에 가래가 많습니다. 기침을 할 수도 있겠죠. 이것을 폐경유열증(肺經有熱證)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폐경(肺經)에 열(熱)이 생겼으니 청열폐경(淸熱肺經: 폐경의 열을 내려줌)하고 코 막힌 게 있으니 비규(鼻竅: 콧구멍)를 통산(通散: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뚫어줌)하는 방법으로 치료합니다.
혹, 혈어(血瘀)이라고 하면 오래된 겁니다. 이 경우에는 코가 항상 막혀 있습니다. 폐경유열증은 코가 막혔다가 안 막혔다가 하는데, 어혈(瘀血)로 인해서 막히면 코가 계속 막히는 겁니다. 아주 완고합니다. 그러면서도 누렇거나 흰색의 진득한 콧물이 나오며, 코가 항상 부어 있으므로 말할 때 콧소리가 많이 납니다. 그러면서 기침이 나면서 가래가 많죠.
폐열(肺熱)을 다스리며 청폐(淸肺)하면서 코 막힌 것을 뚫어줘야 하므로 청폐통규(淸肺通竅)시키고 행혈(行血: 혈을 순환시킴)하여 어혈(瘀血)을 풀어줘야 합니다.
치료기간은 대체로 두 달 정도입니다. 비후성비염은 좀 더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처음에 두 달 정도 치료하고 몇 달 쉬었다가 다시 치료를 반복할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1년에 가능하면 1-2차례정도 비염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비염은 아이들의 경우 잠자는 것과 민감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늦게 잠들거나 잠을 못 자면 비염이 심해집니다.
만성비염의 경우 식염수로 씻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축농중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식염수로 씻을 수 있는데, 그런 것이 아닌 일반 비염이나 알레르기 비염은 식염수로 씻으면 코안에 있는 이로운 물질과 보호 물질까지 다 씻기기 때문에 비염에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성비염중에는 비후성비염도 있습니다. 비후성비염은 비중격 만곡으로 많이 옵니다. 비후성비염은 양방에서는 수술을 권하죠. 한의원에서는 수술을 하지 않고 치료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천함소아한의원 장재찬대표원장입니다.
한의원에서는 한약으로 비염을 치료합니다.
폐경(肺經)에 열이 있는 경우에는 간헐적으로 코가 막히는데, 낮에 활동하면 코막힘이 감소되고 밤에는 좀 더 심해집니다. 일반적인 비염증상이 대부분 이렇습니다. 말할 때 콧소리가 나고 누렇거나 탁한 콧물이 흐로고, 후비루로 목에 가래가 많습니다. 기침을 할 수도 있겠죠. 이것을 폐경유열증(肺經有熱證)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폐경(肺經)에 열(熱)이 생겼으니 청열폐경(淸熱肺經: 폐경의 열을 내려줌)하고 코 막힌 게 있으니 비규(鼻竅: 콧구멍)를 통산(通散: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뚫어줌)하는 방법으로 치료합니다.
혹, 혈어(血瘀)이라고 하면 오래된 겁니다. 이 경우에는 코가 항상 막혀 있습니다. 폐경유열증은 코가 막혔다가 안 막혔다가 하는데, 어혈(瘀血)로 인해서 막히면 코가 계속 막히는 겁니다. 아주 완고합니다. 그러면서도 누렇거나 흰색의 진득한 콧물이 나오며, 코가 항상 부어 있으므로 말할 때 콧소리가 많이 납니다. 그러면서 기침이 나면서 가래가 많죠.
폐열(肺熱)을 다스리며 청폐(淸肺)하면서 코 막힌 것을 뚫어줘야 하므로 청폐통규(淸肺通竅)시키고 행혈(行血: 혈을 순환시킴)하여 어혈(瘀血)을 풀어줘야 합니다.
치료기간은 대체로 두 달 정도입니다. 비후성비염은 좀 더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처음에 두 달 정도 치료하고 몇 달 쉬었다가 다시 치료를 반복할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1년에 가능하면 1-2차례정도 비염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비염은 아이들의 경우 잠자는 것과 민감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늦게 잠들거나 잠을 못 자면 비염이 심해집니다.
만성비염의 경우 식염수로 씻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축농중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식염수로 씻을 수 있는데, 그런 것이 아닌 일반 비염이나 알레르기 비염은 식염수로 씻으면 코안에 있는 이로운 물질과 보호 물질까지 다 씻기기 때문에 비염에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