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편식? 밥 잘안먹는아이

수원시청 2020.11.13 16:00
질환 정보
환자 정보
2 2017-06-23
안녕하세요 17년생 아이인데요 아이가 밥을 너무 안먹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ㅠㅠ
한참 잘먹여야 하는 시기라고 하던데... 저희 애는 도통 먹는거에 관심이 없어요
간식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수원시청 함소아한의원 조혜영 원장입니다.

아이가 어릴 때는 먹이고 재우는게 가장 큰 일인 듯 합니다.
잘 자고 잘 먹기만 해도 걱정거리가 많이 줄지요.

세돌 좀 넘은 아이가 밥을 잘 안 먹어서 걱정이시네요.
어떤 음식이든 다 관심이 없고 간식도 잘 안 먹는 아이라고 하신 걸 보니, 뱃골도 작고 소화기도 약한 아이라 여겨집니다.

이런 아이들은 체력이 떨어지면 먹는 것보다는 우선 자려고 하고, 음식도 초컬릿, 사탕 등 바로 당 보충이 되는 것들을 먹으려 하지요.
가족 중에 잘 체하고 입이 짧은 분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어느 정도 타고난 체질이 있는 거지요.

소화력을 높여주고, 흡수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쪽으로 치료와 생활관리가 들어가야 합니다.
한약을 먹는다고 해도 갑자기 잘 먹게 되기보다는 배고프다는 이야기가 늘고 조금씩 자주 먹으려 하게 되지요.
단 것도 자주 찾게 되는데, 사탕, 초컬릿 보다는 말린 과일 등 자연에서 나오는 간식으로 주시는게 좋습니다.
식전에 간식을 먹게 되면 끼니에 바로 영향을 주니, 가급적 식전 간식은 피해주셔야 합니다.
어느 정도 체질적으로 소화기가 약하고, 뱃골도 작은 아이들은 장기간에 걸쳐 반복하여 소화기를 튼튼히 하기 위한 치료 및 생활관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한의원에서는 소화력 개선, 흡수력 개선을 위한 한약 복용을 아이 상태에 따라 반복하고, 침, 뜸치료를 꾸준히 병행하여 점차 소화기가 튼튼해질 수 있도록 관리합니다.

집에서는 잠을 충분히 재우고, 사탕, 초컬릿 등 달달한 간식을 줄이고, 찬 것을 먹지 않도록 하며, 팔다리를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운동을 매일 꾸준히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대변이 막히면, 식욕에 영향을 받으니 유산균 꾸준히 섭취하면서 배변도 관리해주셔야 하구요.

단기간에 큰 변화가 생기기는 어렵습니다.
매일의 변화가 나중에 돌아보면 좋은 결과로 돌아오게 됩니다.
아이를 키우는게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