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게 야제증상인가요?
수원시청
2020.11.10 10:53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9-05-10
안녕하세요 19년 5월생을 둔 엄마입니다^^
저희 아이가 요근래 계속 밤에 잠을 못자요.. 원래도 통잠을 자던 아이는 아니였지만
요근래들어서 더 통잠을 못자네요 매일 ?
저희 아이가 요근래 계속 밤에 잠을 못자요.. 원래도 통잠을 자던 아이는 아니였지만
요근래들어서 더 통잠을 못자네요 매일 ?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수원시청 함소아 한의원 조혜영 원장입니다.
아이가 잠을 못 자면, 엄마도 푹 잘 수가 없으니 많이 힘드실 듯 합니다.
‘야제’는 한자 뜻 그대로 ‘밤에 우는 증상’을 말합니다.
밤에 깨서 우는 증상을 통틀어 야제라고 하는 것이지요.
야제의 원인은 크게 다음의 4가지로 나누어 봅니다.
1. 심열(心熱)
2. 소화기 문제
3. 놀라서
4. 구내염, 이앓이 등 입안의 병
밤에 깨서 자지러지게 울고 잘 안 달래질 때는 열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 12-2시경 깨서 우는 경우가 많고, 허리를 뒤로 젖히면서 울고 불고 하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평소 소화기가 차고 허약한 아이들의 경우에는 새벽에 가까울 즈음 깨서 우는 경우가 많고, 울음소리도 다소 약하고, 웅크려 우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사람이 많은 곳에 다녀온 후, 큰 소리가 나는 환경에 노출된 후, 교통사고 후에는 놀라서 야제가 생기게 됩니다.
한의원에서는 각각의 증상 유형과 아이의 상태, 체질 등을 살펴보고, 원인을 찾아 침, 부항, 뜸 치료 및 필요시 한약 복용을 하면서 치료를 합니다.
더불어 아이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생활요인을 찾아 고칠 수 있도록 합니다.
어린 아이가 밤에 자주 깨고 우는 건 당연하다 생각하고 시간이 지나기만 기다린다는 분들을 자주 봅니다.
물론 아이가 커가면서 어느 정도는 나아질 수 있지만, 치료를 하면 지금부터도 증상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좋은 수면은 가족 모두의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에 중요합니다.
의외로 상담을 통해 내가 모르고 있던 생활환경의 문제점을 고치거나 1-2회의 침, 부항치료 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참지만 마시고, 한번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아이가 잠을 못 자면, 엄마도 푹 잘 수가 없으니 많이 힘드실 듯 합니다.
‘야제’는 한자 뜻 그대로 ‘밤에 우는 증상’을 말합니다.
밤에 깨서 우는 증상을 통틀어 야제라고 하는 것이지요.
야제의 원인은 크게 다음의 4가지로 나누어 봅니다.
1. 심열(心熱)
2. 소화기 문제
3. 놀라서
4. 구내염, 이앓이 등 입안의 병
밤에 깨서 자지러지게 울고 잘 안 달래질 때는 열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 12-2시경 깨서 우는 경우가 많고, 허리를 뒤로 젖히면서 울고 불고 하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평소 소화기가 차고 허약한 아이들의 경우에는 새벽에 가까울 즈음 깨서 우는 경우가 많고, 울음소리도 다소 약하고, 웅크려 우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사람이 많은 곳에 다녀온 후, 큰 소리가 나는 환경에 노출된 후, 교통사고 후에는 놀라서 야제가 생기게 됩니다.
한의원에서는 각각의 증상 유형과 아이의 상태, 체질 등을 살펴보고, 원인을 찾아 침, 부항, 뜸 치료 및 필요시 한약 복용을 하면서 치료를 합니다.
더불어 아이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생활요인을 찾아 고칠 수 있도록 합니다.
어린 아이가 밤에 자주 깨고 우는 건 당연하다 생각하고 시간이 지나기만 기다린다는 분들을 자주 봅니다.
물론 아이가 커가면서 어느 정도는 나아질 수 있지만, 치료를 하면 지금부터도 증상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좋은 수면은 가족 모두의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에 중요합니다.
의외로 상담을 통해 내가 모르고 있던 생활환경의 문제점을 고치거나 1-2회의 침, 부항치료 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참지만 마시고, 한번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