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교통사고도 한의원에서 한방치료 가능해요?
평촌
2020.09.21 10:09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6-07-07
2주 전에 아들이랑 차를 타고 가는데 뒤에서 제차를 박았어요.
저랑 아이랑 많이 놀랐어요,
뒤에서 오던 차량이 글쎄 핸드폰 하다가 앞에 있는 제차를 못봤데요,..ㅜㅜ
저랑 아이랑 많이 놀랐어요,
뒤에서 오던 차량이 글쎄 핸드폰 하다가 앞에 있는 제차를 못봤데요,..ㅜㅜ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평촌함소아 조백건원장입니다.
교통사고 환자 중 응급 처치를 요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양방 처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가벼운 외상, X-ray나 이학적 검사상 특별한 진단이 없이 통증 등 증상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경우와 언어 표현이 불명확한 유아의 정신 증상에서는 현 양방 의료체계에서 적절한 치료 방법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소아 청소년 교통사고의 경우 정신 장애에 대한 인식 부족과 아이들이 본인의 증상에 대해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해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고 이후 아이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더라도 교통사고의 증상은 다양합니다.
신체적인 문제가 없더라도 사고 당시의 충격에 대한 놀람, 불안, 분노, 우울감, 집중력의 저하, 불면, 피로감, 무력감, 절 망감 등의 증상을 자주 호소하는 등 심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반되는 정신과적 진단으로 불안장애, 우울장애, 급성 스트레스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적응장애, 공포증, 드물게 인격의 변화나 인지기능의 변화를 보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교통사고 직후 나타나는 정신과적 증상인 불안, 수면장애, 우울 등은 사고 당시의 공포스런 기억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요, 한의학 개념으로 접근해 볼 때 驚悸의 범주에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방치료후 만족도가 높으니 소아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상담 받아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교통사고 환자 중 응급 처치를 요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양방 처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가벼운 외상, X-ray나 이학적 검사상 특별한 진단이 없이 통증 등 증상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경우와 언어 표현이 불명확한 유아의 정신 증상에서는 현 양방 의료체계에서 적절한 치료 방법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소아 청소년 교통사고의 경우 정신 장애에 대한 인식 부족과 아이들이 본인의 증상에 대해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해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고 이후 아이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더라도 교통사고의 증상은 다양합니다.
신체적인 문제가 없더라도 사고 당시의 충격에 대한 놀람, 불안, 분노, 우울감, 집중력의 저하, 불면, 피로감, 무력감, 절 망감 등의 증상을 자주 호소하는 등 심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반되는 정신과적 진단으로 불안장애, 우울장애, 급성 스트레스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적응장애, 공포증, 드물게 인격의 변화나 인지기능의 변화를 보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교통사고 직후 나타나는 정신과적 증상인 불안, 수면장애, 우울 등은 사고 당시의 공포스런 기억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요, 한의학 개념으로 접근해 볼 때 驚悸의 범주에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방치료후 만족도가 높으니 소아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상담 받아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