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생리때만 되면 넘 힘들어합니다.

부산 서면 2020.08.18 10:26
질환 정보
환자 정보
2 2007-10-04
아이가 생리를 시작한지 4년 정도 되었습니다. 초경때보다는 조금 규칙적이긴 합니다만
매달 못하는 경우도 있고 두달만에 하는 경우에는 양도 많고 너무 힘들어 해서 학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부산 서면 함소아한의원 이병호 원장입니다.

아이가 생리를 시작한지 몇년이 지났는데 생리불순도 있고, 건너뛰기도 하고, 양도 많고, 생리통도 심한 모양이네요.
우리나라 여성의 초경 나이는 평균 12세 7개월이라 합니다. 즉 초등학교 6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 사이에 초경이 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인데요. 예전에 비하면 초경 나이가 많이 낮아졌습니다.
이는 인류 사회의 농경과 목축 등 기술이 좋아지면서 인류가 양질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게 되면서 생식을 할 수 있는 나이가 낮아지고 있는 것인데요.
이와 더불어 생리통이나 생리 불순 또한 심해져 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아이들은 너무 많은 정서적, 육체적 자극에 노출되어 있으며, 과도한 학습이나 너무 이른 경쟁에 내 몰리면서 스트레스 또한 심해져 가고 있지요.
이러다보니 여성으로서 처음 초경을 시작하고, 자궁이 성숙하고, 자리를 잡고 하는 과정에서 생리불순이나 생리통 등으로 고생하는 아이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문의하신 아이도 역시 생리불순이 좀 있고 과다월경 증상도 있는 것 같은데요.

한의학에서는 이런 생리불순의 원인을 여러가지로 고려하고 그에 맞게 치료하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가장대표적인 원인 몇가지를 예를 들어드리자면 첫번째가 피의 기운이 부족해 져서, 두번째는 기운이 뭉쳐서, 세번째는 나쁜 피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밝히고 있는데요.

아이의 생태가 어떤지는 가까운 한의원에서 직접 진찰하고 상담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제가 조언해 드리고 싶은 것은 초경을 한지 4년 정도 되었고, 이제 여성으로서 완전히 성숙한 나이가 되어가는데, 자궁 내 환경이나 내막의 상태, 몸의 전신적인 상태, 정서적 상태 등 어떤 원인에 의해 아이가 생리통, 과다월경 등의 증상을 겪는지 알아보고, 더 원숙한 나이로 접어들기 전에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다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