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아이가 성조숙증이 의심되는데, 성조숙증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압구정 2020.07.14 10:18
질환 정보
환자 정보
2 2012-10-12
안녕하세요,. 아이가 성조숙증이 의심되서요,
얼마전부터 살이 좀 오르더니 가슴에 몽울이가 잡히는 것 같아요.
성조숙증 증상이죠? 아직 어린데 생리까지 하게되면 에구

답변내용

압구정 함소아한의원 이혁재원장입니다. 어머님께서 아이가 성조숙증이 아닐까 싶어 걱정이네요.

1. 성조숙증과 조기사춘기
성조숙증이란, 8~9세 미만의 아이들에게서 이차 성징이 빨리 나타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성조숙증은 아니라도, 여자아이에게서 만 8?9세, 남자아이에게서 만 9?10세 사이에 이차 성징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조기 사춘기(early puberty)라고 합니다.

성조숙증일 때나, 조기 사춘기일 때나, 엄마들로서는 성적인 발달이 빠른 것이 키 성장, 정서 안정, 학습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까 걱정하게 되지요.

2. 성조숙증 또는 조기사춘기 감별
한 번은 겪어야 할 2차 성징, 너무 빠르지 않게 돕는 일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도, 빨리 크면 빨리 멈출 수 있다는 것 때문에 걱정이 됩니다. 2차 성징을 빨리 겪게 되면, 그만큼 키 성장할 시간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2차 성징인 가슴 몽우리, 음모, 고환의 변화가 뚜렷하다면, 덧붙여 아래와 같은 증상들도 함께 살펴보세요.

1) 갑자기 살이 찐다
눈에 띄게 근육보다 지방이 많아져 과체중이나 비만이 걱정스러울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체성분 검사를 1~2개월에 1번씩 하면서, 지방의 비율이 더 늘지 않도록 음식조절과 운동조절을 해야 합니다.

2) 피부 여드름, 머리카락 기름기, 몸 냄새가 심해진다
사춘기를 겪으면 호르몬의 비율이 바뀌게 되면, 여드름, 기름기, 냄새가 달라집니다. 어른이 돼서 생식이 가능한 몸으로 바뀌는 것이죠. 하지만, 어른이 된다는 것은 성장이 멈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아직 나이가 어리다면, 가파른 2차 성징의 변화를 늦춰야겠죠.

3) 불안이나 짜증이 늘고, 때때로 우울하거나 무기력해집니다.
1년 전과 견줄 때, 스트레스를 받는 까닭들이 달라집니다. 사춘기 스트레스는 쓰나미처럼 확 밀려왔다 확 빠져나가곤 합니다. 걱정하는 일이 생기면 불안과 짜증이 늘고, 감정의 높낮이가 롤러코스트를 타듯이 오르내립니다. 거꾸로 하루종일 손가락 하나 까딱거리지 않고, 누워서 천정만 바라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예측불가능한 삶을 살아가지요.

3. 성조숙증 또는 조기사춘기의 원인
성조숙증이 갑자기 늘게 된 까닭으로는 엄마 아빠로부터 받은 유전적인 원인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듭니다. 무엇보다도 스트레스와 서구화된 식단 그리고 스마트폰 환경이 적지 않은 몫을 하고 있습니다.

먼저, 집, 학교, 학원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과 호르몬 분비에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 엄마아빠, 형제자매남매 사이에서 나타나는 가족의 갈등, 학교나 학원에서 선생님이나 친구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을 버티려고 하다보면, 몸과 마음에 무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바쁜 일상생활에서, 패스트푸드, 인스턴트식품, 과자, 탄산음료와 같은 음식을 주로 먹게 됩니다. 탄수화물이 많고, 맵고 짠 맛으로 된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몸속의 체지방이 늘게 되면서 호르몬의 비율이 바뀌게 됩니다.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빠르고 강렬한 자극을 바라는 뇌, 일자목 거북목 구부정한 자세, 먹고 자고 움직이는 패턴의 변화가 생기면서, 몸속에서 자율신경과 호르몬의 변화를 일으킵니다.

이런 여러 가지 버릇들이 모여서, 성조숙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성조숙증까지는 아니라고 해도, 몸과 마음과 뇌의 조화가 깨지면서 예측하기 어려운 여러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4. 성조숙증 또는 조기사춘기 치료 방법
어린 나이에 2차 성징의 변화가 생겼다면, 더 빨리 진행되지 않고 속도가 늦춰지도록 치료하게 됩니다. 마른체형과 뚱뚱한 체형에 따라, 집안 스트레스와 집밖 스트레스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 정도에 따라 생활관리와 한방치료를 함께 하게 됩니다.

긴 시간을 두고, 성장을 돕고, 학습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도록 꾸준히 관리하도록 합니다. 8~9세 이전에 몸과 마음에 밴 버릇들을 하나하나 되짚어서 고칠만한 버릇들은 고칩니다. 더불어 성장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 버릇을 찾아냅니다.

짧지 않은 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지금까지 압구정 함소아 이혁재원장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