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변비 해결방법은?
평촌
2020.07.13 10:14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7-11-01
한동안 어린이집을 다니지 못했는데....얼마전부터 보내고 있어요.
그런데 그 후로 밥도 잘 안 먹고 없던 변비가 생겼네요.
어린이집 다녀오면 짜증도 엄청 부리고,,,
그런데 그 후로 밥도 잘 안 먹고 없던 변비가 생겼네요.
어린이집 다녀오면 짜증도 엄청 부리고,,,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평촌함소아 조백건원장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하루 4번, 1세 전후로는 2번, 4세 이후부터는 엄마, 아빠와 같이 하루 3번에서 일주일에 3번까지를 정상 배변으로 간주하며, 그 이하일 경우 변비라고 말을 해요.
돌이 지난 아이가 3일 이상 변을 보지 않고 대변을 볼 때 힘들어해도 변비예요. 섬유질이 거의 없는 분유나 우유만 마시거나 장염을 몇 차례 앓은 후 변이 딱딱해진 경우, 아파서 잘 먹지 못하면서 배변 횟수가 준 경우도 변비일 가능성이 높아요.
한방에서는 변비의 원인을 비장과 위장, 대장의 문제로 봐요. 비위에서 영양물이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거나, 수분대사가 잘 조절되지 않거나, 비위나 대장에 열이 많거나, 대장이 차거나, 대변을 배설시키는 힘이 부족한 경우에 변비가 생긴다고 말하지요.
흔히 보는 아이들은 변비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어요. 하나는, 장이 수분을 지나치게 흡수해서 생기는 변비예요. 대장에 열이 많아서 대변에서 수분을 지나치게 흡수해 변이 단단해지면서 생기는 경우에요. 이때는 주로 차가운 성질의 약물로 처방을 구성해 대장의 열을 식히고 항진된 기능을 안정시키면서 건조한 것을 풀어줘야 해요.
다른 하나는 기운이 부족해서 장이 운동을 못해 변비가 생기는 경우예요. 허약한 아이가 전신의 기와 진액이 부족해 생기는 변비이므로 장을 치료하면서 기와 진액을 함께 보충해주는 치료를 해야 해요.
가까운 소아한의원에서 상담 이어서 받아주세요.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하루 4번, 1세 전후로는 2번, 4세 이후부터는 엄마, 아빠와 같이 하루 3번에서 일주일에 3번까지를 정상 배변으로 간주하며, 그 이하일 경우 변비라고 말을 해요.
돌이 지난 아이가 3일 이상 변을 보지 않고 대변을 볼 때 힘들어해도 변비예요. 섬유질이 거의 없는 분유나 우유만 마시거나 장염을 몇 차례 앓은 후 변이 딱딱해진 경우, 아파서 잘 먹지 못하면서 배변 횟수가 준 경우도 변비일 가능성이 높아요.
한방에서는 변비의 원인을 비장과 위장, 대장의 문제로 봐요. 비위에서 영양물이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거나, 수분대사가 잘 조절되지 않거나, 비위나 대장에 열이 많거나, 대장이 차거나, 대변을 배설시키는 힘이 부족한 경우에 변비가 생긴다고 말하지요.
흔히 보는 아이들은 변비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어요. 하나는, 장이 수분을 지나치게 흡수해서 생기는 변비예요. 대장에 열이 많아서 대변에서 수분을 지나치게 흡수해 변이 단단해지면서 생기는 경우에요. 이때는 주로 차가운 성질의 약물로 처방을 구성해 대장의 열을 식히고 항진된 기능을 안정시키면서 건조한 것을 풀어줘야 해요.
다른 하나는 기운이 부족해서 장이 운동을 못해 변비가 생기는 경우예요. 허약한 아이가 전신의 기와 진액이 부족해 생기는 변비이므로 장을 치료하면서 기와 진액을 함께 보충해주는 치료를 해야 해요.
가까운 소아한의원에서 상담 이어서 받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