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것만 골라먹는 편식하는 아이 습관을 고칠 수 있을까요?
목동
2020.07.06 10:10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6-10-20
얼마 전부터 딸아이가 편식이 심해졌어요.
자기가 먹고 싶은 것만 먹고 야채나 채소류는 아예 입도 안대네요.
소시지, 햄 등 달달하고 입에 맞는 것만 먹으려고 해서 걱?
자기가 먹고 싶은 것만 먹고 야채나 채소류는 아예 입도 안대네요.
소시지, 햄 등 달달하고 입에 맞는 것만 먹으려고 해서 걱?
답변내용
아이들이 자기 생각이 강해지면서 슬슬 고집을 부리는 시기가 옵니다. 모든 걸 자기 마음대로 하고 싶어지죠. 다른 건 그렇다 쳐도 먹는 건 건강과 성장에 직결되는 문제라 부모 입장에선 양보할 수 없는 문제인데 아이들이 고집을 부리면서 전쟁이 시작됩니다.^^ 보통 소세지나 돈까스 같이 기름진 음식이랑 국수니 피자 같은 밀가루 위주의 식품만 먹으려 하고, 야채는 거부하죠. 이런 편식 습관은 살찌기 쉽고 키 크는데 도움이 안 될 뿐더러, 알레르기 비염이나 아토피 같이 먹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질환은 악화시키기까지 합니다.
편식 습관은 고치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이에 맞게 부모님도 전략을 잘 짜셔서 접근해야 합니다. 원래 잘 먹고 뱃골이 큰 아이라면 본인이 원하는 음식이 아니라고 거부할 경우 한 끼 정도 굶기세요. 배고픈 걸 참기 힘든 아이들이라 배고프면 평소에 안 먹던 음식도 먹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 끼 굶긴다고 큰일 나지 않으니까 흔들리지 말고 강하게 나가세요. 입이 짧고 까다로운 친구라면 단순히 음식 맛 뿐 아니라 분위기가 중요해요. 야채가 들어간 음식을 예쁘게 플레이팅 해준다거나 좋아하는 그릇에 담아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컨디션이나 기분이 별로인 날은 무리하게 안 먹던 음식을 먹게 한다거나 더 먹이려고 하지 마세요.
변비가 오래 가면 좋아하던 음식까지 안 먹을 수도 있습니다. 유산균은 꼭 복용하셔야 하는데 사실 유산균만으로 한계가 있고 꼭 야채를 먹어야 돼요. 생야채가 아니어도 됩니다. 특히 나물이 참 좋은 식품입니다. 나물을 잘게 잘라서 비빔밥으로 먹는 것도 좋구요, 야채를 잘게 썰어서 볶음밥으로 먹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변비가 오래간다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변볼 때 항문이 아파서 더 참게 되고, 그러면 배가 빵빵하니까 먹고 싶은 생각도 안 들겠죠. 그럴 땐 가까운 한의원에서 장운동을 좋게 하는 침 뜸 치료와 한약 치료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편식 습관 개선을 위해선 온 가족이 다같이 참여해야 합니다. 아이가 당장 안 먹더라도 식사 때마다 야채를 부모님들이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줘서 아이가 호기심을 갖게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편식 습관은 고치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이에 맞게 부모님도 전략을 잘 짜셔서 접근해야 합니다. 원래 잘 먹고 뱃골이 큰 아이라면 본인이 원하는 음식이 아니라고 거부할 경우 한 끼 정도 굶기세요. 배고픈 걸 참기 힘든 아이들이라 배고프면 평소에 안 먹던 음식도 먹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 끼 굶긴다고 큰일 나지 않으니까 흔들리지 말고 강하게 나가세요. 입이 짧고 까다로운 친구라면 단순히 음식 맛 뿐 아니라 분위기가 중요해요. 야채가 들어간 음식을 예쁘게 플레이팅 해준다거나 좋아하는 그릇에 담아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컨디션이나 기분이 별로인 날은 무리하게 안 먹던 음식을 먹게 한다거나 더 먹이려고 하지 마세요.
변비가 오래 가면 좋아하던 음식까지 안 먹을 수도 있습니다. 유산균은 꼭 복용하셔야 하는데 사실 유산균만으로 한계가 있고 꼭 야채를 먹어야 돼요. 생야채가 아니어도 됩니다. 특히 나물이 참 좋은 식품입니다. 나물을 잘게 잘라서 비빔밥으로 먹는 것도 좋구요, 야채를 잘게 썰어서 볶음밥으로 먹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변비가 오래간다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변볼 때 항문이 아파서 더 참게 되고, 그러면 배가 빵빵하니까 먹고 싶은 생각도 안 들겠죠. 그럴 땐 가까운 한의원에서 장운동을 좋게 하는 침 뜸 치료와 한약 치료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편식 습관 개선을 위해선 온 가족이 다같이 참여해야 합니다. 아이가 당장 안 먹더라도 식사 때마다 야채를 부모님들이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줘서 아이가 호기심을 갖게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