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이 땀많이 흘리는데 여름보약 어떤 약재가 들어가는지 궁금해요
인천
2020.06.30 10:07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0-03-10
지난해에는 그렇게 심하지 않았는데,,,,올해는 유독 땀을 많이 흘리네요.
땀많이 흘리는 아이들에게 여름보약 괜찮을까요?
어떤 약재가 들어가는지 궁금해요!!!! 알려주?
땀많이 흘리는 아이들에게 여름보약 괜찮을까요?
어떤 약재가 들어가는지 궁금해요!!!! 알려주?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어머님
아드님이 올해 유독 땀을 많이 흘려서 여름보약이 궁금하시군요.
현재 질문의 키워드는 2가지입니다. 바로 여름과 땀입니다.
이중에서 더 중요한것은 여름입니다.
동의보감에 보면 열능상기熱能傷氣 한상혈寒傷血이라고 해서 고 나와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에 혈약 여름에 기약(청서익기탕)을 씁니다.
그래서 여름에 생맥산 청서익기탕 겨울에 쌍화탕을 씁니다.
血實氣虛則肥氣實血虛則瘦所以肥耐寒而不耐熱瘦耐熱而不耐寒者由寒則傷血熱則傷氣損其不足則陰陽愈偏故不耐也損其有餘者方得平調故耐之矣[河間]
또 동의보감의 에 보면 고 나옵니다. 즉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아야 가을 겨울에 병이 안걸린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동병하치가 중요합니다.
夏一季是人脫精神之時 "心旺腎衰" 腎化爲水至秋始凝及冬乃堅是故尤愼房室固養精氣[活人]
또한 하여 동병하치에 대해서 다시한번 강조하였습니다.
衛生歌曰四時惟夏難將攝伏陰在內腹冷滑"補腎湯藥"不可無食飮稍冷休哺?"心旺腎衰"何所禁特忌?泄通精氣寢處惟宜謹密間?靜志慮和心意氷漿菜茹不宜人必到秋來成?痢
凡盛暑衝熱切不可以冷水洗手面大損人目[活人]
그리고 에 보면 고 하여 같은 증상이라도 계절에 따라 다르게 관리해야하나고 나옵니다.
諸病四時用藥之法不問寒熱溫凉如春時則加淸凉風藥夏月加大寒之藥秋月加溫氣藥冬月加大熱藥是不絶生化之源也錢仲陽醫小兒深得此理內經曰必先歲氣毋伐天和是爲至治[東垣]
또한 여름 더위에는 기를 보해야해서 생맥산을 먹으라고 했는데
에 보면 라고 하여 여름에 속이 냉한것이 아니라 양기가 피부로 떠올라 속은 양기가 허해진것이므로 속의 양기를 보해줘야하므로 생맥산이라고 하는 속의 양기를 도와주는 약을 여름철에 먹으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때문에 한여름에 삼계탕, 보신탕등을 먹게 하는 것입니다.
人與天地同一??子月一陽生寅月三陽生巳月六陽生陽盡出於上此氣之浮也人之腹屬地氣於此時浮於肌表散於皮毛腹中之陽虛矣世言夏月伏陰在內此陰字有虛之義若作陰冷看其誤甚矣火令之時
아드님이 올해 유독 땀을 많이 흘려서 여름보약이 궁금하시군요.
현재 질문의 키워드는 2가지입니다. 바로 여름과 땀입니다.
이중에서 더 중요한것은 여름입니다.
동의보감에 보면 열능상기熱能傷氣 한상혈寒傷血이라고 해서 고 나와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에 혈약 여름에 기약(청서익기탕)을 씁니다.
그래서 여름에 생맥산 청서익기탕 겨울에 쌍화탕을 씁니다.
血實氣虛則肥氣實血虛則瘦所以肥耐寒而不耐熱瘦耐熱而不耐寒者由寒則傷血熱則傷氣損其不足則陰陽愈偏故不耐也損其有餘者方得平調故耐之矣[河間]
또 동의보감의 에 보면 고 나옵니다. 즉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아야 가을 겨울에 병이 안걸린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동병하치가 중요합니다.
夏一季是人脫精神之時 "心旺腎衰" 腎化爲水至秋始凝及冬乃堅是故尤愼房室固養精氣[活人]
또한 하여 동병하치에 대해서 다시한번 강조하였습니다.
衛生歌曰四時惟夏難將攝伏陰在內腹冷滑"補腎湯藥"不可無食飮稍冷休哺?"心旺腎衰"何所禁特忌?泄通精氣寢處惟宜謹密間?靜志慮和心意氷漿菜茹不宜人必到秋來成?痢
凡盛暑衝熱切不可以冷水洗手面大損人目[活人]
그리고 에 보면 고 하여 같은 증상이라도 계절에 따라 다르게 관리해야하나고 나옵니다.
諸病四時用藥之法不問寒熱溫凉如春時則加淸凉風藥夏月加大寒之藥秋月加溫氣藥冬月加大熱藥是不絶生化之源也錢仲陽醫小兒深得此理內經曰必先歲氣毋伐天和是爲至治[東垣]
또한 여름 더위에는 기를 보해야해서 생맥산을 먹으라고 했는데
에 보면 라고 하여 여름에 속이 냉한것이 아니라 양기가 피부로 떠올라 속은 양기가 허해진것이므로 속의 양기를 보해줘야하므로 생맥산이라고 하는 속의 양기를 도와주는 약을 여름철에 먹으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때문에 한여름에 삼계탕, 보신탕등을 먹게 하는 것입니다.
人與天地同一??子月一陽生寅月三陽生巳月六陽生陽盡出於上此氣之浮也人之腹屬地氣於此時浮於肌表散於皮毛腹中之陽虛矣世言夏月伏陰在內此陰字有虛之義若作陰冷看其誤甚矣火令之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