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냉방병증상 및 치료 문의

목동 2020.06.01 10:15
질환 정보
환자 정보
2 2015-09-10
이번주에도 엄청 덥다고해서 주말에 에어컨 청소를 했네요.
에어컨을 살짝 틀어놓기는했는데....아이가 콧물이 나오고 기침을 하네요..
아직 열은 안나는데...냉방병인가

답변내용

요즘엔 여름에 더위를 먹어서 병이 생기는 것보다 냉방병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더 많은 듯합니다. 밖은 덥고 냉방이 된 실내는 차서 너무 큰 실내외의 온도차에 내 몸이 적응을 잘 하지 못해 혈액순환과 자율신경계에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걸 냉방병이라고 합니다. 두통, 근육통, 현기증, 무기력, 소화불량 등등 증상이 다양하죠. 그런데 사실 냉방병은 정식 의학용어는 아닙니다. 그래서 무작정 냉방병이다 아니다를 말하는 것보다 증상에 따라 아이가 어떤 상태인지 파악하는 게 맞습니다.

아이의 경우 감기나 비염 증상으로 보입니다. 아직은 본격적으로 더워진 건 아니고 일교차도 큰 날이 있기 때문에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특히나 학령 전기의 아이들은 호흡기가 아직 덜 발달해서 온도 변화에 아주 예민합니다. 평소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친구라면 더 그렇구요. 찬 기온에 노출되면서 갑자기 혈관이 부어서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이 나타나는 거죠. 열이 많은 아이라 시원하게 키워주시는 건 맞습니다만, 너무 냉방 온도를 낮춘게 아닌가 싶습니다.

냉방병을 예방하는 방법은 실내온도를 바깥보다 5도 이상 차이나지 않게 해주는 겁니다. 아주 더운 여름에도 최대 8도 이상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에어컨을 틀더라도 자주 환기를 시켜주고, 비염이 있는 친구라면 더욱 환기에 신경써주세요. 탁한 실내 공기는 비염에 안 좋습니다. 그리고 호흡기 증상 뿐 아니라 덥다고 시원한 거만 너무 먹고 마셔서 배탈이 나지 않도록 해주세요.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냉방병은 의학적으로 진단가능한 병명이 아닙니다. 그냥 여름에 실내외 온도차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을 뭉뚱그려 표현한 말입니다. 이런 용어들을 쓸 때 주의할 점은 감기, 비염, 소화불량, 탈수증 등등 각각 증상에 맞춰 치료받아야 되는데 아 그냥 여름이니까 냉방병인가 보다 하고 소홀히 넘기다 병을 키우기 쉽습니다. 아무쪼록 여름철 건강관리에 신경써주시고 불편한 증상이 있으면 즉시 적절한 치료를 받는게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