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성조숙증?
수원시청
2020.04.20 14:48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1-05-11
안녕하세요 성조숙증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저희 아이가 혹시 성조숙증인가 해서요 올해 초등학교3학년에 재학중이고
또래보다 키도 크고 덩치도 큰편이에요 그리고 며칠?
저희 아이가 혹시 성조숙증인가 해서요 올해 초등학교3학년에 재학중이고
또래보다 키도 크고 덩치도 큰편이에요 그리고 며칠?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수원시청 함소아 한의원 조혜영 원장입니다.
요즘 성조숙에 대한 우려가 많습니다.
아이가 가슴멍울이 잡힌다 하면 혹시 우리 아이도 성조숙이 아닐까 걱정을 하게 되지요.
평균적으로 여자아이들의 경우 만 10세경 유방발달이 시작되면서 사춘기에 들어서게 됩니다.
이런 신체 변화가 만 8세 이전에 나타나게 되면 성조숙증, 만 9-10세 사이에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는 조기 사춘기라 합니다.
문의주신 아이의 경우 만 9세 생일을 앞두고 있는데다, 가슴 멍울도 최근에 생긴 듯 하다고 하시니, 성조숙과 조기 사춘기의 경계에 있는 상황으로, 단순히 글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습니다.
성조숙증은 시기의 문제이므로, 걱정이 되신다면 빠른 시일내에 한의원이든 병원이든 내원하여 진료를 보시기를 권합니다.
진단을 위해 내원을 하게 되면 현재 아이의 성장상태, 최근의 성장속도, 출생체중과 신장, 부모님의 신장 등의 문진과 함께 유방발달의 단계 파악을 위한 신체검사, 뼈나이 확인 등을 통해 아이가 어느 정도 빨리 사춘기에 접어들고 있는지 판단을 하게 됩니다.
양방병원에서는 혈액 검사도 시행하게 됩니다.
성조숙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과거에 비해 좋아진 영양상태, 환경호르몬, 유전적 요인(부모님의 성장이 빨랐던 경우),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한방적으로는 어떤 원인으로 "열"이 많아지게 되면 성조숙이 올 수 있다고 봅니다.
몸을 촉촉이 적셔주는 "음"의 기운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양"의 기운 많아지는 경우,
스트레스 등으로 기운이 막혀 "화"가 생기게 되는 경우,
잘 먹는데 순환이 되지 않아 "습열"이 쌓이는 경우 등이 성조숙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아이가 어떤 상태인지 살펴 이를 해결해줄 수 있는 한약을 처방하게 됩니다.
한약 복용과 더불어 침, 뜸치료, 운동치료 및 성조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식습관, 생활습관 등을 체크하여 생활관리를 병행합니다.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다만 너무 이른 발달은 최종 키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여자아이들의 경우 너무 어린 나이에 신체적인 변화와 함께 초경을 시작하면서 심리적, 사회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요즘에는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진료나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우리 아이가 마음 상하지 않고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요즘 성조숙에 대한 우려가 많습니다.
아이가 가슴멍울이 잡힌다 하면 혹시 우리 아이도 성조숙이 아닐까 걱정을 하게 되지요.
평균적으로 여자아이들의 경우 만 10세경 유방발달이 시작되면서 사춘기에 들어서게 됩니다.
이런 신체 변화가 만 8세 이전에 나타나게 되면 성조숙증, 만 9-10세 사이에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는 조기 사춘기라 합니다.
문의주신 아이의 경우 만 9세 생일을 앞두고 있는데다, 가슴 멍울도 최근에 생긴 듯 하다고 하시니, 성조숙과 조기 사춘기의 경계에 있는 상황으로, 단순히 글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습니다.
성조숙증은 시기의 문제이므로, 걱정이 되신다면 빠른 시일내에 한의원이든 병원이든 내원하여 진료를 보시기를 권합니다.
진단을 위해 내원을 하게 되면 현재 아이의 성장상태, 최근의 성장속도, 출생체중과 신장, 부모님의 신장 등의 문진과 함께 유방발달의 단계 파악을 위한 신체검사, 뼈나이 확인 등을 통해 아이가 어느 정도 빨리 사춘기에 접어들고 있는지 판단을 하게 됩니다.
양방병원에서는 혈액 검사도 시행하게 됩니다.
성조숙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과거에 비해 좋아진 영양상태, 환경호르몬, 유전적 요인(부모님의 성장이 빨랐던 경우),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한방적으로는 어떤 원인으로 "열"이 많아지게 되면 성조숙이 올 수 있다고 봅니다.
몸을 촉촉이 적셔주는 "음"의 기운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양"의 기운 많아지는 경우,
스트레스 등으로 기운이 막혀 "화"가 생기게 되는 경우,
잘 먹는데 순환이 되지 않아 "습열"이 쌓이는 경우 등이 성조숙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아이가 어떤 상태인지 살펴 이를 해결해줄 수 있는 한약을 처방하게 됩니다.
한약 복용과 더불어 침, 뜸치료, 운동치료 및 성조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식습관, 생활습관 등을 체크하여 생활관리를 병행합니다.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다만 너무 이른 발달은 최종 키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여자아이들의 경우 너무 어린 나이에 신체적인 변화와 함께 초경을 시작하면서 심리적, 사회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요즘에는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진료나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우리 아이가 마음 상하지 않고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