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예약&상담 온라인 문의

온라인 문의

밥먹는거를 너무 귀찮아 해요.

부산 서면 2020.04.14 15:05
질환 정보
환자 정보
2 2016-10-21
집에만 있으면서 짜증에 어리광만 잔뜩 늘었어요. 밥을 먹여도 입에 물고있고 밥먹는시간이 한시간도 더 되는거 같아요. ㅜㅜ 요구르트랑 우유, 쥬스만 찾아요. 뭘 먹이면

답변내용

만 3세 6개월 아이가 밥을 잘 안먹고 입에 물고 있네요.
그러면서 밥은 안먹고 음료만 찾고 있구요.

아이들이 최근 코로나19 때문에 단체생활을 하지 못하고 집에만 있다 보니 짜증이 늘고 밥먹는 시간 등이 흐트려지면서 식사 규칙이 더 무너져서 그럴수 있습니다.

아이가 예전부터 밥을 잘 안먹은것인지, 최근에 규칙적인 생활을 하지 않으면서부터 밥을 잘 안먹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식욕부진인지 아닌지를 알아보려면 먼저 아이가 1끼에 먹어야 하는 정량을 아는 것이 우선이겠지요.

시간이 걸리더라도, 편식을 하더라도 만 3세 6개월이면 1끼에 식당 공기밥 반공기 정도를 먹어낸다면 식욕부진은 아닙니다.
여기서 부모님께서 잘 이해하셔야 하는 사항이 있는데요.
만 4세 전 아이들에게 먹는 것은 놀이이자 음식을 잘 먹기 위한 운동의 일종입니다.

제가 진료를 하면서 100명의 아이를 만난다면 먹는 놀이에 관심을 보이는 아이는 20명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먹는 놀이보다 뛰어다니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보고, 이야기하는 놀이를 더 좋아합니다.
그래서 만 4세 전 아이들은 밥 먹는데 대부분 30분 이상 걸립니다.
이것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집에서는 잘 안먹지만 어린이집에서는 잘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어린이집 식사 시간에는 주변 아이들이 모두 먹는 놀이에 집중해 주기 때문에 자기도 덩달아 먹는 놀이에 집중하다보니 잘 먹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단, 지금 아이가 입에 밥을 물고 있고 삼키지 않고, 대신 음료는 좋아하고 잘 마신다면, 그리고, 국수나 라면 같은 면을 혹시 잘 먹는다면 아이가 씹어 먹는 음식에 흥미를 잃어가고 있을 수 있겠다 싶습니다.
아이 입장에서 밥과 곡식, 야채 등은 꼭꼭 씹어먹어야 하는 거친 음식입니다. 그런데 음료나 면류는 씹지 않고 삼켜 먹어도 되는 부드러운 음식, 잘 넘어가는 음식이죠. 실제로 부모님도해 보시면 느끼시겠지만 면류는 별로 씹지 않아도 음료 마시듯 쉽게 잘 넘어가는 음식이거든요.
그러다보니 아이 입장에서 쉽게 삼켜 먹으면 되는 음식이 있는데, 굳이 맛도 없고 텁텁하고 꼭꼭 씹어야 하는 곡식을 먹기 싫어하는게 당연한 것이고, 입에 물고 있으면서 녹아 내리기를, 삼키기 쉬운 상태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이런 아이도 사탕이나 과자를 주면 딱딱하지만 오독오독 씹어 먹잖아요? 아이 입장에서 사탕, 과자는 빨리 씹어 삼킬만큼 맛있는 음식이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씹는 것이죠.

이런 아이의 반응은 식욕부진으로 보기는 어렵구요. 아이가 거친 음식, 씹어먹어야 하는 음식에 익숙해 지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입니다. 즉, 약을 써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식사습관을 다시 잡아주어야 하는 교육의 문제라 볼수 있습니다.

뱃골을 늘리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공기 정도를 다 먹이셔야 하고,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아이에게는 우유, 요쿠르트, 쥬스 등 마실 것을 주지 않으셔야 합니다. 군것질 거리를 굶겨버려야 한다는 겁니다.
최소 1달 정도를 아이와 노력하다보면 아이가 식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할겁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