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ADHD 증상 좀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파주
2020.03.16 10:11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3-11-21
아이가 집중을 잘 못하고 금방 실증을 내는데 불안한 마음이네요.
처음에는 그냥 아직 어리니까 좀 지켜보자 했는데,,,
시간이 갈수록 성격도 급해지고 더 산만해 지는 ?
처음에는 그냥 아직 어리니까 좀 지켜보자 했는데,,,
시간이 갈수록 성격도 급해지고 더 산만해 지는 ?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파주 함소아 한의원 김은경 원장입니다.
우리 아이가 이번에 초등학교 입학을 하게 되었네요. 축하합니다.
다만, 아이가 성격도 급하고 산만한 편이라 걱정이 많이 되시죠.
아이가 또래보다 유난히 산만하고 집중을 못하고, 말이 끝나기도 전에 움직이고,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다른 친구들의 놀이에 갑자기 끼어들거나 관심사가 금세 변하고, 선생님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경우, 우리 아이가 ADHD가 아닐까 걱정하는 부모님이 많으실 거예요.
ADHD는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라고 하여
주의가 산만하거나 가만히 있지 못하고 움직임이 과도한 것을 말합니다.
ADHD의 증상에 대해 궁금해하셨는 데요.
다음 1. 항목 또는 2. 항목에서 각 6가지 증상이 종종 보이고, 6개월 이상 지속되며, 아이의 학업이나 사회 활동에 문제가 된다면 적극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DSM-5에 의한 진단기준)
1. 주의력 결핍, 부주의
1) 세밀하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업, 놀이 등 활동에 실수가 잦다.
2) 과제나 놀이를 할 때 주의 집중을 계속하지 못한다.
3)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경청하지 않는 모습이다.
4) 지시를 따르지 못하고, 과제나 업무를 완수하지 못한다.
5)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는 과제를 피하거나 싫어한다.
6) 물건을 잘 잃어버린다.
7) 외부 자극에 쉽게 산만해진다.
8) 일상적인 활동을 잊어버린다.
2. 과잉행동, 충동성
1) 손발을 가만히 못두거나, 의자에 앉아서도 몸을 꼼지락거린다.
2) 가만히 앉아있어야 할 상황에서 자리를 떠나 돌아다닌다.
3) 상황에 부적절하게 뛰어다니거나 높은 곳을 기어오른다.
4) 조용한 놀이나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어렵다.
5) 마치 모터가 달린 듯 끊임없이 움직이고 행동한다.
6) 지나칠 정도로 수다스럽게 말 한다.
7) 질문이 끝나기 전에 성급히 대답한다.
8) 줄서거나 차례를 지켜야하는 상황에서 기다리지 못한다.
9) 다른 사람의 놀이나 말, 행동에 끼어들거나 방해한다.
이런 증상들이 극단적이고 장기적으로 보이는지, 한 장소만이 아니라 여러 장소에서 보이는지, 일시적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보이는지, 또래 친구들보다 빈번하게 일어나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하면서 이러한 부분들이 더 드러나게 되는 것은 40분간 책상에 앉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수업을 받아야 하고, 선생님의 지시사항에 따라야 하는 등 전에 비해 주의집중과 행동의 절제가 필요한 상황에 놓이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있을 수도 있고, 아이의 뇌발달이 미숙하여 자기조절능력이 어려운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사실 아이가 어리기 때문에 미숙함이 더 많겠죠.
아이의 행동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지, 학업이나 사회활동에 문제가 되는지를 살펴보셔야 하겠구요.
증상이 아직 오래되지 않았다면 자기 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생활 습관 교육을 해주세요.
만약, 아이가 물건을 잘 잃어버린다면 챙기는 습관을 가지는 방법(예, 필통은 사용 후에 가방에 넣고 가방 지퍼를 닫는다)을 알려주시고 계속 체크해 나가는 거죠. 처음부터 잘 하지 못해도 꾸준히 하면서 익히게 해주세요. 잘 챙긴 날은 칭찬해줍니다.
해야할 일을 알려주실 때, 눈을 마주보고 지시합니다. 지시 내용은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알려준 후에는 아이가 잘 이해했는지 다시 말해보도록 하여 확인합니다.
과제는 부분으로 쪼개서 작게 만들어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 학습지를 한다면, "수학 학습지 풀어"가 아니라, "수학 문제 5개 풀어보자"로 양을 줄여 해나갑니다. 잘 하면 칭찬을 해주시고, 이후 5개를 또 풀어보면서 성취감과 흥미를 느끼게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느려도 재촉하지 말고 기다려주시고, 과제를 해내면 아낌없는 칭찬을 해주세요.
시간이 지난 후에도 6개 이상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ADHD 여부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ADHD의 치료는 한의원에서 가능합니다.
우리 아이가 이번에 초등학교 입학을 하게 되었네요. 축하합니다.
다만, 아이가 성격도 급하고 산만한 편이라 걱정이 많이 되시죠.
아이가 또래보다 유난히 산만하고 집중을 못하고, 말이 끝나기도 전에 움직이고,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다른 친구들의 놀이에 갑자기 끼어들거나 관심사가 금세 변하고, 선생님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경우, 우리 아이가 ADHD가 아닐까 걱정하는 부모님이 많으실 거예요.
ADHD는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라고 하여
주의가 산만하거나 가만히 있지 못하고 움직임이 과도한 것을 말합니다.
ADHD의 증상에 대해 궁금해하셨는 데요.
다음 1. 항목 또는 2. 항목에서 각 6가지 증상이 종종 보이고, 6개월 이상 지속되며, 아이의 학업이나 사회 활동에 문제가 된다면 적극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DSM-5에 의한 진단기준)
1. 주의력 결핍, 부주의
1) 세밀하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업, 놀이 등 활동에 실수가 잦다.
2) 과제나 놀이를 할 때 주의 집중을 계속하지 못한다.
3)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경청하지 않는 모습이다.
4) 지시를 따르지 못하고, 과제나 업무를 완수하지 못한다.
5)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는 과제를 피하거나 싫어한다.
6) 물건을 잘 잃어버린다.
7) 외부 자극에 쉽게 산만해진다.
8) 일상적인 활동을 잊어버린다.
2. 과잉행동, 충동성
1) 손발을 가만히 못두거나, 의자에 앉아서도 몸을 꼼지락거린다.
2) 가만히 앉아있어야 할 상황에서 자리를 떠나 돌아다닌다.
3) 상황에 부적절하게 뛰어다니거나 높은 곳을 기어오른다.
4) 조용한 놀이나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어렵다.
5) 마치 모터가 달린 듯 끊임없이 움직이고 행동한다.
6) 지나칠 정도로 수다스럽게 말 한다.
7) 질문이 끝나기 전에 성급히 대답한다.
8) 줄서거나 차례를 지켜야하는 상황에서 기다리지 못한다.
9) 다른 사람의 놀이나 말, 행동에 끼어들거나 방해한다.
이런 증상들이 극단적이고 장기적으로 보이는지, 한 장소만이 아니라 여러 장소에서 보이는지, 일시적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보이는지, 또래 친구들보다 빈번하게 일어나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하면서 이러한 부분들이 더 드러나게 되는 것은 40분간 책상에 앉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수업을 받아야 하고, 선생님의 지시사항에 따라야 하는 등 전에 비해 주의집중과 행동의 절제가 필요한 상황에 놓이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있을 수도 있고, 아이의 뇌발달이 미숙하여 자기조절능력이 어려운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사실 아이가 어리기 때문에 미숙함이 더 많겠죠.
아이의 행동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지, 학업이나 사회활동에 문제가 되는지를 살펴보셔야 하겠구요.
증상이 아직 오래되지 않았다면 자기 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생활 습관 교육을 해주세요.
만약, 아이가 물건을 잘 잃어버린다면 챙기는 습관을 가지는 방법(예, 필통은 사용 후에 가방에 넣고 가방 지퍼를 닫는다)을 알려주시고 계속 체크해 나가는 거죠. 처음부터 잘 하지 못해도 꾸준히 하면서 익히게 해주세요. 잘 챙긴 날은 칭찬해줍니다.
해야할 일을 알려주실 때, 눈을 마주보고 지시합니다. 지시 내용은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알려준 후에는 아이가 잘 이해했는지 다시 말해보도록 하여 확인합니다.
과제는 부분으로 쪼개서 작게 만들어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 학습지를 한다면, "수학 학습지 풀어"가 아니라, "수학 문제 5개 풀어보자"로 양을 줄여 해나갑니다. 잘 하면 칭찬을 해주시고, 이후 5개를 또 풀어보면서 성취감과 흥미를 느끼게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느려도 재촉하지 말고 기다려주시고, 과제를 해내면 아낌없는 칭찬을 해주세요.
시간이 지난 후에도 6개 이상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ADHD 여부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ADHD의 치료는 한의원에서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