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잠자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부산 서면
2020.03.12 20:11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8-08-06
19개월된 딸아입니다. 매일 자다깨서 엄마가 옆에 없으면 울어버려요ㅜㅜ. 옆에 있어도 토닥여 재우는데도 넘 힘들구요. 밤마다 4~5번은 깨는거 같아요. 젖병물려 재워도 ?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부산 서면 함소아한의원 이병호 원장입니다.
아기가 매일 자다 깨서 우네요. 하룻밤에 4,5번 정도 깨면 깨는 아기도, 부모도 통잠을 자지 못하니 너무 힘들지요.
돐까지야 아기니까 그렇다 생각할 수 있지만, 벌써 19개월인데 아기가 계속 깬다면 이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들은 낮에 자면서도, 밤에 자면서도 중간에 살짝 살짝 깨서 주변을 확인하고, 부모의 존재, 나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사람의 존재를 확인하면서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의 시력은 완전하지가 않지만 낮에는 아무래도 빛이 밝아서 흐릿하게나마 부모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고, 주변의 생활 소음이나 사람의 움직임이 느껴지다 보니 잠에서 깼다 하더라도 다시 안정감을 갖고 잠들기 쉽습니다만, 밤에는 주변도 깜깜하고, 생활 소음도 없다보니 불안한 마음에 부모를 찾아 낑낑거리면서 자신을 보호해 달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그냥 토닥토닥 두드려주고, 살짝 안아주거나, 젖을 물려서 다시 잠들 수 있다면 병적인 상황은 아니라고 봐도 됩니다.
만약 배가 고파서 깨는 거라면 젖을, 분유를 충분히 먹고 나면 새벽까지 잘 자야 정상입니다.
하지만 아기가 너무 심하게 운다거나 다시 잠들 때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면, 또 지금처럼 2시간도 못자고 다시 깨서 운다면 야제증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심장의 기운이 약해지면 밤에 아이가 꿈을 꾸면서 깊은 잠을 자지못하고 깨서 계속 운다고 보는데요.
이럴때는 들뜬 정서를 약간 안정시켜주고, 심장의 기운을 도와주면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방의학에서는 야제증이란 병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좋아진다고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500년 전 동의보감에 이런 증상을 야제증이라고 해서 병으로 보았고, 병의 원인과 진단, 치료법까지 상세하게 적어놓고 있습니다.
아이가 야제증이라면 아이도 깊이 잠들지 못해서 힘들어지고, 부모님도 수면의 질이 나빠져서 힘들 수 있으므로 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인지 진찰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부산 서면 함소아한의원 이병호 원장입니다.
아기가 매일 자다 깨서 우네요. 하룻밤에 4,5번 정도 깨면 깨는 아기도, 부모도 통잠을 자지 못하니 너무 힘들지요.
돐까지야 아기니까 그렇다 생각할 수 있지만, 벌써 19개월인데 아기가 계속 깬다면 이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들은 낮에 자면서도, 밤에 자면서도 중간에 살짝 살짝 깨서 주변을 확인하고, 부모의 존재, 나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사람의 존재를 확인하면서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의 시력은 완전하지가 않지만 낮에는 아무래도 빛이 밝아서 흐릿하게나마 부모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고, 주변의 생활 소음이나 사람의 움직임이 느껴지다 보니 잠에서 깼다 하더라도 다시 안정감을 갖고 잠들기 쉽습니다만, 밤에는 주변도 깜깜하고, 생활 소음도 없다보니 불안한 마음에 부모를 찾아 낑낑거리면서 자신을 보호해 달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그냥 토닥토닥 두드려주고, 살짝 안아주거나, 젖을 물려서 다시 잠들 수 있다면 병적인 상황은 아니라고 봐도 됩니다.
만약 배가 고파서 깨는 거라면 젖을, 분유를 충분히 먹고 나면 새벽까지 잘 자야 정상입니다.
하지만 아기가 너무 심하게 운다거나 다시 잠들 때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면, 또 지금처럼 2시간도 못자고 다시 깨서 운다면 야제증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심장의 기운이 약해지면 밤에 아이가 꿈을 꾸면서 깊은 잠을 자지못하고 깨서 계속 운다고 보는데요.
이럴때는 들뜬 정서를 약간 안정시켜주고, 심장의 기운을 도와주면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방의학에서는 야제증이란 병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좋아진다고 하지만, 한의학에서는 500년 전 동의보감에 이런 증상을 야제증이라고 해서 병으로 보았고, 병의 원인과 진단, 치료법까지 상세하게 적어놓고 있습니다.
아이가 야제증이라면 아이도 깊이 잠들지 못해서 힘들어지고, 부모님도 수면의 질이 나빠져서 힘들 수 있으므로 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인지 진찰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