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구...너무 안먹어요. 식욕부진인가요?
부산 서면
2020.02.25 11:22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6-06-28
딸 둘을 키우고 있는데… 아이 하나가 너무 안먹어서 상담드려요.
어린이집 선생님한테 들었는데 밥이랑 간식을 거의 안먹는다고 하네요.
그래서 그런지 몸무게도 적게 ?
어린이집 선생님한테 들었는데 밥이랑 간식을 거의 안먹는다고 하네요.
그래서 그런지 몸무게도 적게 ?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부산 서면 함소아한의원 이병호 원장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밥을 잘 안먹네요. 집에서도 많이 먹지는않구요.
아이가 식욕부진인지 아닌지를 알아보려면 먼저 아이가 1끼에 먹어야 하는 정량을 아는 것이 우선이겠지요.
아이가 16년생이니까 만 3세 6개월 정도 되었는데요.
이맘때 아이는 매 끼니때마다 식당 공기밥 반공기 정도(약 120그램 정도)와 그만큼의 반찬을 먹으면 정량이라 볼수 있습니다.
아이가 잘 안먹는다고 하셨는데, 시간이 걸리더라도, 편식을 하더라도 1끼에 공기밥 반공기 정도를 먹는다면 사실 식욕부진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만 4세 전 아이들에게 먹는 것은 놀이이자 음식을 잘 먹기 위한 운동의 일종입니다.
제가 진료를 하면서 100명의 아이를 만난다면 먹는 놀이에 관심을 보이는 아이는 20명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먹는 놀이보다 뛰어다니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보고, 이야기하는 놀이를 더 좋아합니다.
그래서 만 4세 전 아이들은 밥 먹는데 대부분 30분 이상 걸립니다.
어머니들을 만나보면 먹는 놀이에 관심을 보이는 20명 정도가 너무 밥도 잘먹고 이뻐보이다 보니 우리 아이만 너무 안먹는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대부분 아이들이 30분 이상 걸려서 식사를 완료하게 되거든요.
물론 아이가 만 4세를 넘어서부터는 식사 규칙을 교육 하시기 시작해야 하고, 스스로 떠 먹고, 시간 안에 정해진 양을 먹을 수 있도록 교육을 하셔야 합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집에서는 잘 안먹지만 어린이집에서는 잘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어린이집 식사 시간에는 주변 아이들이 모두 먹는 놀이에 집중해 주기 때문에 자기도 덩달아 먹는 놀이에 집중하다보니 잘 먹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문의하신 아이의 경우 어린이집에서도 잘 안먹는다니, 먹는 놀이에 진짜 관심이 없거나 또는 단체 급식의 특유의 향이나 질감 등이 자기와 맞지 않아서 안먹으려 드는 경우일 수 있겟네요. 또는 정말 식욕부진일 수 있구요.
정말 식욕부진인 아이들은 소화기관의 기운이 너무 약하고, 음식을 소화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무리 맛있는 것을 줘도 적당히만 먹고 절대 더 먹지 않습니다. 많이 먹으면 속이 안좋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인데요. 그리고, 과하게 먹고 나면 잘 체하거나 게워놓거나 변이 나빠지게 됩니다.
정확한 것은 가까운 한의원에 가셔서 직접 진찰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부산 서면 함소아한의원 이병호 원장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밥을 잘 안먹네요. 집에서도 많이 먹지는않구요.
아이가 식욕부진인지 아닌지를 알아보려면 먼저 아이가 1끼에 먹어야 하는 정량을 아는 것이 우선이겠지요.
아이가 16년생이니까 만 3세 6개월 정도 되었는데요.
이맘때 아이는 매 끼니때마다 식당 공기밥 반공기 정도(약 120그램 정도)와 그만큼의 반찬을 먹으면 정량이라 볼수 있습니다.
아이가 잘 안먹는다고 하셨는데, 시간이 걸리더라도, 편식을 하더라도 1끼에 공기밥 반공기 정도를 먹는다면 사실 식욕부진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만 4세 전 아이들에게 먹는 것은 놀이이자 음식을 잘 먹기 위한 운동의 일종입니다.
제가 진료를 하면서 100명의 아이를 만난다면 먹는 놀이에 관심을 보이는 아이는 20명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먹는 놀이보다 뛰어다니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보고, 이야기하는 놀이를 더 좋아합니다.
그래서 만 4세 전 아이들은 밥 먹는데 대부분 30분 이상 걸립니다.
어머니들을 만나보면 먹는 놀이에 관심을 보이는 20명 정도가 너무 밥도 잘먹고 이뻐보이다 보니 우리 아이만 너무 안먹는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대부분 아이들이 30분 이상 걸려서 식사를 완료하게 되거든요.
물론 아이가 만 4세를 넘어서부터는 식사 규칙을 교육 하시기 시작해야 하고, 스스로 떠 먹고, 시간 안에 정해진 양을 먹을 수 있도록 교육을 하셔야 합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집에서는 잘 안먹지만 어린이집에서는 잘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어린이집 식사 시간에는 주변 아이들이 모두 먹는 놀이에 집중해 주기 때문에 자기도 덩달아 먹는 놀이에 집중하다보니 잘 먹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문의하신 아이의 경우 어린이집에서도 잘 안먹는다니, 먹는 놀이에 진짜 관심이 없거나 또는 단체 급식의 특유의 향이나 질감 등이 자기와 맞지 않아서 안먹으려 드는 경우일 수 있겟네요. 또는 정말 식욕부진일 수 있구요.
정말 식욕부진인 아이들은 소화기관의 기운이 너무 약하고, 음식을 소화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무리 맛있는 것을 줘도 적당히만 먹고 절대 더 먹지 않습니다. 많이 먹으면 속이 안좋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인데요. 그리고, 과하게 먹고 나면 잘 체하거나 게워놓거나 변이 나빠지게 됩니다.
정확한 것은 가까운 한의원에 가셔서 직접 진찰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