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겨울에도 땀이 너무 많아요ㅠㅠ 몸이 약해져서 그런가요? 한약 먹으면 도움되나요?
2019.12.19 16:45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1 2012-08-15
7살되는 남자 아이입니다. 여름에 땀이 많아서 더워서 그런가? 했는데 겨울에도 자면서 땀이 많아요. 몸이 약해져서 인가요? 한의원에서 한약 복용하면 도움 되나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 한의사 박준홍입니다.
자면서 나는 땀을 한방에서는 도한(盜汗)이라고 합니다. 밤에 자면서 도둑처럼 나는 땀이라는 뜻입니다. 도한은 일반적으로 혈이 부족하고 열이 많은 경우에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 말은 먹는 것에 비해 소모가 많아서 체력이 약해지면 열이 발생해서 수면 중에 땀이 나는 것으로 식은땀이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 몸을 보강해주는 보약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자면서 나는 땀이 모두 몸이 약해져서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체질적으로 속열이 많은 아이들은 낮이고 밤이고 땀이 많습니다. 속열이 땀으로 배출되는 것입니다
잠이 들려고 하면 기초체온은 올라갑니다. 그래서 잠들기 직전에 땀이 많이 납니다. 땀이 나면서 체온이 내려가면서 점차적으로 깊은 잠에 들게 됩니다.
잠들기 시작하면서 나는 땀은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다만 너무 심하게 땀이 나서 잠들기 힘들어 한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면환경이 덥고 습도가 높다면 아무래도 땀이 많이 날수 있습니다.
수면온도는 아이들은 22도~23도 일 때 제일 잘 잡니다. 어른들이 조금 시원하다고 싶은 온도가 잠들기가 쉬워요. 겨울이라고 너무 따뜻하게 재우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보세요.
방안온도는 겨울에는 18도 습도 40~60%가 가장 면역력에 좋은 환경이라고 권장합니다. 감기가 걱정이 된다면 새벽에 4~5시경에 조금 따뜻하게 온도를 올려 주세요. 그리고 아침에 일어나서 체온이 빨리 올라갈수 있게 목수건이나 양말을 신겨 주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자면서 땀이 많다면 첫째 몸이 약해졌는지? 둘째, 체질적으로 속열이 많은지? 셋째 방안 수면환경이 어떤지? 체크해보세요
정확한 상태는 소아전문한의원에서 진료 받아서 원인에 따라 치료 해주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자면서 나는 땀을 한방에서는 도한(盜汗)이라고 합니다. 밤에 자면서 도둑처럼 나는 땀이라는 뜻입니다. 도한은 일반적으로 혈이 부족하고 열이 많은 경우에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 말은 먹는 것에 비해 소모가 많아서 체력이 약해지면 열이 발생해서 수면 중에 땀이 나는 것으로 식은땀이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 몸을 보강해주는 보약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자면서 나는 땀이 모두 몸이 약해져서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체질적으로 속열이 많은 아이들은 낮이고 밤이고 땀이 많습니다. 속열이 땀으로 배출되는 것입니다
잠이 들려고 하면 기초체온은 올라갑니다. 그래서 잠들기 직전에 땀이 많이 납니다. 땀이 나면서 체온이 내려가면서 점차적으로 깊은 잠에 들게 됩니다.
잠들기 시작하면서 나는 땀은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다만 너무 심하게 땀이 나서 잠들기 힘들어 한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면환경이 덥고 습도가 높다면 아무래도 땀이 많이 날수 있습니다.
수면온도는 아이들은 22도~23도 일 때 제일 잘 잡니다. 어른들이 조금 시원하다고 싶은 온도가 잠들기가 쉬워요. 겨울이라고 너무 따뜻하게 재우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보세요.
방안온도는 겨울에는 18도 습도 40~60%가 가장 면역력에 좋은 환경이라고 권장합니다. 감기가 걱정이 된다면 새벽에 4~5시경에 조금 따뜻하게 온도를 올려 주세요. 그리고 아침에 일어나서 체온이 빨리 올라갈수 있게 목수건이나 양말을 신겨 주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자면서 땀이 많다면 첫째 몸이 약해졌는지? 둘째, 체질적으로 속열이 많은지? 셋째 방안 수면환경이 어떤지? 체크해보세요
정확한 상태는 소아전문한의원에서 진료 받아서 원인에 따라 치료 해주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