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안먹는 아이
서대전
2024.04.17 14:00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9-06-12
6살 여자아이 밥을 너무 안먹어요.
요즘들어 먹는양이 더 줄어서 걱정입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법이 있을까요?
요즘들어 먹는양이 더 줄어서 걱정입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법이 있을까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유길성입니다.
밥안먹는 아이에 대한 문의 입니다.
한방에서는 식욕부진이라고 하며, 식욕부진의 원인은 참 다양합니다.
음식의간이나, 환경, 생활패턴 등도 식욕부진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한방적 원인은
1. 식적 : 만성식체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이는 급성체기가 아닌 만성적으로 소화가 잘되지 않고 약간 체한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런 친구들을 기가 뭉쳐서 입냄새가 나거나 방귀냄새가 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소화기허약 : 소화기 기운이 허약하여 음식물을 받아드리기 어려운것을 의미합니다. 소화기가 피곤해서 음식을 소화가기 힘들어 들어오는것을 거부하는것입니다. 이럴때는 아이가 쉽게 피곤하고 멀미나 어지러움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3. 호흡기허약 : 비염, 축농증 등의 증상이 있으면 숨쉬는것이 불편하여 냄새맡는 기능이 떨어져 식욕부진이 생길수 있습니다. 이런친구들은 잦은감기, 비염 등의 증상이 소화불량과 동반합니다.
4. 신경성 식욕부진 : 아이가 예민해서 조금이라도 신경이 쓰이면 입맛이 떨어지는것을 말합니다. 기분이 조금만 틀어지면 식욕부진이 생깁니다.
5. 변비: 변비가 있으면 장 용적이 작어져 식욕부진이 생기게 됩니다. 이런친구들은 변보기도 힘들고 밥먹는것도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
6. 기력저하 : 피곤할때 입맛이 없는것 처럼. 아이들도 기력이 떨어지면 입맛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밤새 수면에 문제가 있어 충전이 어렵고 다음날 또 친구들과 놀고 .. 이런 상태를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아이는 피곤해 식욕이 떨어지게 됩니다.
식욕부진 관리법
1. 굶기는법: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으면 주지마세요. 밥을 주고 먹지 않으면 30분정도 두고도 먹지 않으면 치우세요. 대신 밥을 안먹으면 간식등을 일체 주시면 안됩니다. 한끼를 굶기고 간식도 주지 않으면 다음 끼니는 잘 먹을 수 있습니다.
2. 무조건 조금씩 먹이는법 : 반대로 아이가 밥을 잘 안먹으면 조금씩 자주 주세요. 뱃골이 크지 않으면 조금씩 자주 먹이는 방법이 좋습니다. 간식이던 밥이던 시간에 상관없이 자주 주세요.
관리후에도 미진하면 가까운 한방의료기관에 내방하여 진찰을 받아보세요.
감사합니다.
밥안먹는 아이에 대한 문의 입니다.
한방에서는 식욕부진이라고 하며, 식욕부진의 원인은 참 다양합니다.
음식의간이나, 환경, 생활패턴 등도 식욕부진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한방적 원인은
1. 식적 : 만성식체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이는 급성체기가 아닌 만성적으로 소화가 잘되지 않고 약간 체한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런 친구들을 기가 뭉쳐서 입냄새가 나거나 방귀냄새가 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소화기허약 : 소화기 기운이 허약하여 음식물을 받아드리기 어려운것을 의미합니다. 소화기가 피곤해서 음식을 소화가기 힘들어 들어오는것을 거부하는것입니다. 이럴때는 아이가 쉽게 피곤하고 멀미나 어지러움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3. 호흡기허약 : 비염, 축농증 등의 증상이 있으면 숨쉬는것이 불편하여 냄새맡는 기능이 떨어져 식욕부진이 생길수 있습니다. 이런친구들은 잦은감기, 비염 등의 증상이 소화불량과 동반합니다.
4. 신경성 식욕부진 : 아이가 예민해서 조금이라도 신경이 쓰이면 입맛이 떨어지는것을 말합니다. 기분이 조금만 틀어지면 식욕부진이 생깁니다.
5. 변비: 변비가 있으면 장 용적이 작어져 식욕부진이 생기게 됩니다. 이런친구들은 변보기도 힘들고 밥먹는것도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
6. 기력저하 : 피곤할때 입맛이 없는것 처럼. 아이들도 기력이 떨어지면 입맛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밤새 수면에 문제가 있어 충전이 어렵고 다음날 또 친구들과 놀고 .. 이런 상태를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아이는 피곤해 식욕이 떨어지게 됩니다.
식욕부진 관리법
1. 굶기는법: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으면 주지마세요. 밥을 주고 먹지 않으면 30분정도 두고도 먹지 않으면 치우세요. 대신 밥을 안먹으면 간식등을 일체 주시면 안됩니다. 한끼를 굶기고 간식도 주지 않으면 다음 끼니는 잘 먹을 수 있습니다.
2. 무조건 조금씩 먹이는법 : 반대로 아이가 밥을 잘 안먹으면 조금씩 자주 주세요. 뱃골이 크지 않으면 조금씩 자주 먹이는 방법이 좋습니다. 간식이던 밥이던 시간에 상관없이 자주 주세요.
관리후에도 미진하면 가까운 한방의료기관에 내방하여 진찰을 받아보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