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도 집안 유전일 수 있나요..?
관악
2024.04.17 09:28
- 질환 정보
- 환자 정보
-
2 20180419
안녕하세요 아이들 틱과 관련하여 궁금합니다. 7살 딸과 10살 아들이 모두 틱증상을 보여요. 아들은 심한건 아니고 안경을 쓰는데 안경을 코찡그려서 올리는 것 같은 증상?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종율입니다.
틱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며, 증상의 양상도 다양합니다.
사실 틱 장애가 왜 나타나는지 왜 심해지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경로가 규명되어있진 않고 여전히 연구가 많이 진행중입니다.
다만 의심하시는대로 유전자 단에서 뇌신경계쪽의 미숙함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가족력의 영향이 있다고 보는 편입니다.
또한 틱 장애는 완치 질환으로서가 아닌 관리 질환으로서 바라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주 경미한 수준에서 지속되기도 하며 완전히 좋아졌다가도 다시 재발할 가능성은 늘 상존합니다.
사춘기 시기를 겪으며 성인이 되기 전에 좋아지는 예도 많기 때문에,
학령기때 심한 틱장애로 인하여 자존감 훼손이나 사회생활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증상을 최대한 일관되게 억제하고 관리하여 주는 것을 목표로 치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틱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며, 증상의 양상도 다양합니다.
사실 틱 장애가 왜 나타나는지 왜 심해지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경로가 규명되어있진 않고 여전히 연구가 많이 진행중입니다.
다만 의심하시는대로 유전자 단에서 뇌신경계쪽의 미숙함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가족력의 영향이 있다고 보는 편입니다.
또한 틱 장애는 완치 질환으로서가 아닌 관리 질환으로서 바라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주 경미한 수준에서 지속되기도 하며 완전히 좋아졌다가도 다시 재발할 가능성은 늘 상존합니다.
사춘기 시기를 겪으며 성인이 되기 전에 좋아지는 예도 많기 때문에,
학령기때 심한 틱장애로 인하여 자존감 훼손이나 사회생활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증상을 최대한 일관되게 억제하고 관리하여 주는 것을 목표로 치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