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함소아 이슈 함소아TV 매거진

식욕부진 밥 안 먹는 아이, 키성장 시기 놓치지마세요!

함소아 2025.05.16 11:28

밥 안 먹는 아이, 단순한 식욕부진일까요?

어린이 키 성장과 건강까지 놓치지 마세요!



매 끼니가 전쟁 같다고 말씀하시는 부모님들 많으시죠? 밥 한 숟가락 더 먹이려고 쫓아다니고, 억지로 먹이려다 울음바다가 되는 일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편식이 아니라 ‘식욕부진’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히 성장기 아이에게 식욕부진은 키 성장뿐 아니라 면역력, 소화기능 등 전반적인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체질에 맞는 해결이 필요합니다.



1. 태어날 때부터 입이 짧은 아이, 기운이 약해서일 수 있어요

태어나면서부터 밥을 잘 먹지 않고, 노는 모습도 힘이 없어 보이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선천적으로 기운이 약해서 식욕이 없고, 먹더라도 소화가 잘 안 되어 밥 안 먹는 아이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얼굴이 희고 볼이 자주 붉어진다
  • 대변이 무르고 변비보다는 묽은 변을 자주 본다
  • 음식에 쉽게 질려 입맛을 자주 잃는다

이런 아이는 양기가 부족해서 몸에 에너지를 끌어들이는 힘 자체가 약한 경우입니다. 인삼, 황기 등의 보약재로 기운을 북돋아주고, 소화기능을 튼튼히 해주는 한방 처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활동량은 많은데 살이 잘 안 찐다면? 위장에 열이 쌓였을 수 있어요

밥도 제법 먹고 활동성도 좋은데 살이 잘 찌지 않고, 식사 시간이 되면 입맛이 없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위장이 너무 활발해 열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그 열로 인해 오히려 식욕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 입냄새가 자주 난다
  • 코가 자주 막히거나 코피가 있다
  • 먹는 양에 비해 체중 증가가 거의 없다

이럴 때는 위장에 쌓인 불필요한 열을 다스려야 합니다. 잡곡밥 위주의 식사로 전환하고, 상추, 치커리, 쓴맛 나는 채소를 식단에 자주 포함시켜주세요. 쓴맛은 위장의 열을 식히고 입맛을 돌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간식만 좋아하는 아이, 식사습관부터 점검하세요

간식은 잘 먹는데 밥만 보면 도망가는 아이, 많죠? 이런 경우는 ‘입맛이 없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식사 습관으로 입맛이 길들여진 경우입니다.

  • 하루 종일 과자, 음료 등 단 음식을 자주 찾는다
  • 식사시간이 제멋대로거나 자주 거른다
  • 밥보다 간식으로 배를 채운다

이런 아이들은 식사와 간식의 경계를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고, 그 외 시간에는 일정한 공복 시간을 두어 위장이 쉴 수 있도록 해주세요. 위장에 휴식을 주면 스스로 허기를 느끼고, 식욕도 자연스럽게 돌아옵니다.



4. 잦은 감기와 항생제로 인한 식욕 저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단체생활을 하는 아이들은 감기를 달고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잦은 감기는 체력과 면역력을 소모시키고, 이로 인해 식욕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감기에 자주 걸리고 회복이 느리다
  • 콧물, 코막힘이 반복되고 열이 자주 난다
  • 항생제 복용 후 설사, 식욕 저하가 나타난다

이런 아이들은 단순히 식욕을 회복시키는 것보다 먼저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몸이 튼튼해져야 감기도 줄고, 자연스럽게 식욕도 회복됩니다. 장 면역력 회복과 폐기능 강화에 중점을 둔 한방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아이의 체질에 맞춘 어린이한의원 치료가 해답입니다

모든 아이가 같은 원인으로 식욕부진을 겪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아이는 기운이 약해서, 어떤 아이는 위장에 열이 많아서, 또 어떤 아이는 습관적으로 간식을 많이 먹어서 식사를 거부하는 것이죠. 아이의 체질과 생활 패턴, 현재 건강 상태를 고려해 한방적으로 원인을 진단하고 접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한의학에서는 단순히 밥을 많이 먹게 하는 것보다, 아이의 장부 기능을 튼튼히 하고 자연스럽게 밥맛이 돌아오게 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아이가 건강하게 잘 먹고, 쑥쑥 자라도록 부모님과 함께 꾸준히 관리해나가야 합니다.



밥 안 먹는 아이, 키성장을 멎을까.. 잘 자라지 않을까 걱정되시나요?

밥 안 먹는 아이를 둔 부모님들의 고민은 깊어만 갑니다. 하지만 걱정보다 중요한 것은 원인을 정확히 알고, 체질에 맞는 올바른 방법으로 식욕을 되찾아주는 것입니다. 우리 아이, 밥 잘 먹고 튼튼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한의학의 따뜻한 시선으로 함께 도와드릴게요.